중심지이론

중심지이론

[ central place theory , 中心地理論 ]

요약 주변 지역에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지의 계층 구조·분포에 관한 일반 법칙을 나타낸 이론.
중심지이론

중심지이론

독일의 지리학자 크리스탈러(W. Christaller)가 1933년 제시한 이론으로, 지표 공간 상 중심지의 분포와 크기에 대한 일반 법칙을 말한다. 여기서 중심지란 주변 지역에 재화와 서비스를 공급하는 기능을 가진 곳을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도시에 해당하나, 기업이나 회사, 작게는 하나의 서비스업 등도 해당될 수 있다. 중심지로부터 재화와 서비스를 공급받는 곳은 배후지라 한다.

중심지이론의 전제조건은 '지표면은 등질한 공간이며, 교통 수단과 접근성은 동일하고, 운송비는 거리에 비례하며, 인구는 균등 분포하고, 소비자는 합리적인 경제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 중심지이론은 도시(또는 서비스업)와 같은 중심지는 계층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분포가 규칙적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계층이 높은 고차중심지일수록 재화와 서비스를 넓은 지역에 공급하고 보다 좁은 지역에 공급하는 저차중심지들을 포섭하는 계층적 형태를 취한다.

크리스탈러는 중심지가 가지는 중심성(centrality)의 크고 작음에 따라 중심지를 상·하 계층으로 나누고, 이들의 기능 및 중심성의 문제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제시하였다. 그는 여러가지 형태의 중심지가 공간적으로 어떻게 입지해야 하는가에 대한 연역적 모델을 만들고, 중심지를 축으로 도시적 취락 분포의 규칙성을 규명하였다. 또 중심지의 재화 공급자는 운송비를 최소화하고 소비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공급처를 가능한 한 소비자와 가까운 곳에 입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인접 지역의 조건이 동일할 경우 배후지는 육각형의 형태를 띠게 된다고 보았다. 중심지에서 공급되는 재화나 서비스가 미치는 공간적 범위를 재화의 도달범위라 하고, 중심지가 유지되기 위한 최소한의 수요를 최소 요구치라 할 때, 최소요구치 범위보다 재화의 도달범위가 넓어야 중심지가 성립한다고도 주장하였다.

크리스탈러 이후 많은 지리학자들이 중심지이론을 발전시켜 왔지만, 크리스탈러의 기본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는다. 오늘날 국토의 균형 발전을 위한 지역 분석의 기본적 이론으로서, 그리고 각종 공간이론의 일반화를 위한 기본 이론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중심지이론 본문 이미지 1

카테고리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