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

[ 全州韓屋─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교동·풍남동 일대에 있는 전통 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

전주한옥마을

1977년 한옥마을 보존지구로 지정된 뒤 전통한옥지구·전통문화지역·전통문화구역·전통문화특구 등으로 불리다가, 2002년 10월 '전주시 공공시설 등의 명칭 제정위원회'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꾸었다.

전주시 완산구 교동(校洞)·풍남동(豊南洞) 일대 7만 6,320평에 700여 채의 전통 한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마을은 일제강점기 때 성곽을 헐고 도로를 뚫은 뒤 일본 상인들이 성 안으로 들어오자, 이에 대한 반발로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현재까지 당시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문화공간으로는 판소리·춤·타악 등 전통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전주전통문화센터, 막걸리·청주의 제조과정 관람과 시음까지 할 수 있는 전주전통술박물관, 숙박을 하면서 온돌대청 마루 등 한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전주한옥생활체험관, 전통 공예품을 전시하는 전주공예품전시관 및 명품관 등이 있다.

또한 조선 태조 이성계(李成桂)의 어진을 모신 경기전(慶基殿:사적 339), 이성계가 황산에서 왜구를 토벌하고 연회를 열었던 오목대와 이목대, 한국 천주교 순교 1번지인 전주 전동성당, 전주향교 등의 문화유적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전주한옥마을 전주시 완산구 교동·풍남동 일대에 있는 전통 한옥마을 전주시 완산구 교동, 풍남동 일대 7만 6,320평에 700여 채의 전통 한옥으로 이루어져 있는 곳이다. 전주시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경기전과 전주향교가 있으며 근래에는 한옥카페가 많이 들어선 관광지로 변모했다. 이곳은 조선시대 전주부 성곽 내 있는 마을이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성곽을 헐고 도로가 뚫리면서 일본 상인들이 성 안으로 진출하였다. 이에 전주성 서쪽에는 일본인들의 건물이 들어서게 되었다. 1930년 전후로 일본인들이 점차 상권을 확장하자 한국인들은 교동과 풍남동 일대에 한옥촌을 형성하였고 당시의 한옥들이 온전하게 남아 전주한옥마을을 형성하게 되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