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정유재란 순절묘역

진도 정유재란 순절묘역

[ 珍島 丁酉再亂 殉節墓域 ]

요약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도평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묘역. 2001년 9월 27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진도 정유재란 순절묘역

진도 정유재란 순절묘역

지정종목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01년 9월 27일
관리단체 진도군
소재지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도평리 산117-3번지 외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2001년 9월 27일 전라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인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일어난 임진왜란 중 1597년의 제2차 침략전쟁을 정유재란이라고도 한다.

진도는 정유재란 때 명량해협(鳴梁海峽:울돌목)을 중심으로 가장 큰 수군전이 펼쳐진 곳이다. 1597년 9월 진도 벽파진(碧波津)에 도착한 이순신(李舜臣) 장군은 명량대첩(鳴梁大捷)에서 대승을 거두었으나 곧바로 신안 당사도로 후퇴하자 우수영(右水營)과 진도는 왜군의 침략을 받았다. 고군면 도평리 묘역일원에는 정유재란 때 전사한 진도군내 사족인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조응량(曺應亮)과 그의 아들 조명신(曺命新), 박헌(朴軒), 김성진(金聲振), 김홍립(金弘立) 등이 묻혀 있다.

명량대첩 때 사족들의 순절이 문중족보나 호남절의록 등에 기록되어 있다. 이 묘역에 묻힌 많은 봉분 중 창녕조씨나 김해김씨 등 진도내 토반씨족 인물 16기 이외에는 주인 없는 무덤들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