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량사 극락전 후불탱

무량사 극락전 후불탱

[ 無量寺 極樂殿 後佛幀 ]

요약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만수리 무량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후불탱화. 2002년 1월 1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2년 1월 10일
관리단체 무량사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만수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2002년 1월 10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부여군 외산면 만수산(萬壽山) 남쪽 기슭에 있는 무량사는 신라시대에 세워진 사찰이다.

부여 무량사 극락전(보물)의 후불탱화는 현존하는 실내봉안 불화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아미타여래도, 관음보살도, 세지보살도 등 3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탱화의 가장 큰 특징은 대형 화면인데도 화면의 구성 요소를 최대한 억제하여 번잡함을 없애고 각 존상(尊像)의 실재감을 부각한 것이다.

18세기 말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무량사의 후불탱화는 3폭으로 이루어진 구성과 화려한 채색 기법이 뛰어나다. 특히 혼합안료의 기법과 화려한 채색은 조선시대 불교회화사와 미술사의 귀중한 자료이다.

참조항목

무량사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