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컬리즘

글로컬리즘

[ glocalism ]

요약 세계화와 지역화를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용어.

세계통합주의(globalism)와 지역중심주의(localism)가 결합해 탄생한 새로운 개념의 용어로, 2001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특정 분야에 한정하지 않고,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방면에 걸쳐 널리 쓰이기 시작해 빠른 속도로 사회 전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기존의 세계통합주의는 세계를 하나의 인간사회 시스템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국가 중심적인 입장을 취하는 쪽으로부터 지나치게 획일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또한, 지역중심주의는 지역중심주의대로 일정 지역의 공통적인 이해나 관심 또는 면식(面識)관계를 근본으로 삼기 때문에 현대와 같은 정보화 시대에 지나치게 다양성만을 강조하는 것은 시대에 뒤떨어진 생각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세계통합주의와 지역중심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세계질서를 세우기 위한 대안으로 등장하였다. 예를 들어 한국의 고유한 문화와 전통은 지역주의에 해당하고, 올림픽경기대회월드컵은 세계통합주의의 대표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한국의 문화와 전통을 세계화하면서 동시에 한국 문화와 전통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것, 즉 세계와 동질화하면서도 한국 고유의 문화로서 이질적인 면을 찾는 것 등은 문화적인 글로컬리즘의 예에 속한다. 또 한국 기업이 해외에 진출할 경우 현지 기업 파트너와 제휴함으로써 현지인의 상품기호와 취향에 맞는 상품을 제조·판매하는 것은 경제적인 글로컬리즘에 속한다.

이렇듯 세계통합주의·지역중심주의, 동질화·이질화 등 이분법적 대립에 머무르지 않고, 양쪽의 장점을 서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면서 새로운 질서 체계로 나아가는 것이 바로 글로컬리즘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