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죽도왜성

김해 죽도왜성

[ 金海 竹島倭城 ]

요약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일본식 석성(石城). 1999년 3월 9일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김해 죽도왜성

김해 죽도왜성

지정종목 부산광역시 기념물
지정일 1999년 3월 9일
소재지 부산광역시 강서구 죽림동 787번지 일원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1999년 3월 9일 부산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때 왜군의 장수인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가 축조한 성이다. 가락산에 자리잡고 있어서 가락성 또는 대나무가 많이 자라 죽도성이라고도 한다. 가락산은 3개의 봉우리로 갈라져 동서로 길게 뻗은 독립된 야산인데, 그 동쪽 끝이 낙동강의 서쪽 지류 우안(右岸)에 인접해 있어 성 밑에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죽도왜성은 해발고도 35m의 낮은 구릉지에 약 1,200m 둘레로 축조되었으며, 제일 높은 곳에는 일본성의 양식인 본환(本丸)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석재는 부근에서 구하기 어려워 먼 곳에서 육로와 바닷길을 이용하여 운반하였다. 성벽으로 중요한 부분만 돌로 쌓고 나머지는 토축(土築)을 한 듯하고 서남북측은 수호(水濠)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때 왜군은 죽도왜성과 수로로 10㎞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구포왜성에 주둔하면서 낙동강 하구지역을 방어하였다. 지형적으로 죽도왜성·구포왜성은 낙동강 강가에 축조한 양산왜성과 함께 삼각형을 이루어 김해 북쪽지역에서 내려오는 병력을 차단할 수 있는 방어의 요충지였고, 낙동강 지류를 이용하여 선박을 정박할 수 있어 다른 성과 긴밀한 연락을 이룬 전략상의 요지였다.

참조항목

가락동, 구포왜성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