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렬양정씨지려

절렬양정씨지려

[ 節烈兩丁氏之閭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하월리에 있는 정려. 2000년 11월 17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절렬양정씨지려

절렬양정씨지려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00년 11월 17일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계월로 319-23 (하월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2000년 11월 17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하월리 둥덩굴마을 안쪽에 서 있는 정려각에 창원정씨 집안의 두 열녀에 대한 정려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정려각은 정면 1칸, 측면 1칸의 부연이 걸린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인데, 측면보다 정면이 훨씬 넓다. 정확한 창건 연대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고, 다만 지금의 건물은 1723년(경종 3)에 지었고 1819년(순조 19)에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정려각 내부는 2칸으로 나누어 두 열녀의 행적을 알 수 있는 명정을 걸어 놓았는데, 권백시의 처 정씨는 정유재란이 일어나 왜군에게 포위되자 강물에 뛰어들어 자결하였여 절개를 지켰다하여 1604년(선조 37)에 열녀에 올랐고, 노세기의 처 정씨는 남편이 죽자 식음을 전폐하고 자결하자 1723년에 열녀에 올랐다. 보호면적은 36㎡이며, 규모는 작지만 부재를 다룬 건축 기법이 뛰어난 건물이다.

참조항목

산서면, 열녀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절렬양정씨지려 전북특별자치도 장수군 산서면 하월리에 있는 정려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   장수군 하월리 둥덩굴마을 안쪽에 서 있는 정려각이며 창원정씨 집안의 두 열녀를 기리는 곳이다. 정려각 정면 1칸, 측면 1칸의 부연이 걸린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권백시의 처 정씨는 정유재란 때 왜군에게 포위되자 강물에 뛰어들어 자결하여 1604년에 열녀에 올랐고, 노세기의 처 정씨는 남편이 죽자 식음을 끊고 자결하자 1723년에 열녀에 올랐다. 정려각의 정확한 창건 연대는 기록이 없어 알 수 없고, 다만 지금의 건물은 1723년(경종 3)에 지었고 1819년(순조 19)에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