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람시조문학상

가람시조문학상

[ 嘉藍時調文學賞 ]

요약 한국 현대시조 발전에 큰 공적을 남긴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1891∼1968)를 기념하기 위해 시조문학사에서 1979년에 제정한 문학상.
분야 한국문학
주최기관 익산시
시작년도 1979년
시상내역 시조

시조의 이론적 체계화에 힘쓰고 현대시조의 풍격을 확립하는 데 기여한 이병기의 업적을 기리고 문학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그의 를 따서 제정한 문학상이다.

1979년 시조문학사에서 제정하여 해마다 시상하다가 1997년부터 1999년까지는 문학사상사로 이관되어 운영되었으며, 2000년부터 익산시에서 개최하고 있다. 역대 수상자로는 김춘랑·송선영·김제현·장순하·이근배·유제하·이은방·조오현·이상범·최승범·윤금초 등이 있다.


● 역대 수상자

● 역대 수상자
연도 수상자 수상작

1회

1979년

정완영

2회

1980년

정소파

3회

1981년

장순하

4회

1982년

이근배

《동해바닷속의 돌거북이 하는 말》

5회

1983년

박경용

*수상 거부로 인해 시상 회수에서 제외하기도 함

5회

1984년

유성규

《소록도 가는 사람》

6회

1985년

김준

《겨울나들이》

7회

1986년

김제현

《매화 등걸에 부는 바람》

8회

1987년

송선영

《가을항아리》

9회

1988년

이우종

《허튼소리 세가락》

10회

1989년

최승범

《전쟁과 평화》

11회

1990년

박재두

《바람 없는 날》

12회

1991년

류제하

13회

1992년

이은방

14회

1993년

김춘랑

15회

1994년

이월수

16회

1995년

조오현

《미천골 이야기》

17회

1996년

진복희

《불빛》

18회

1998년

이상범

확정 《신전의 가을》

19회

1999년

윤금초

《할미새야, 할미새야》

20회

2000년

박옥금

《새》

21회

2001년

김상옥

《풍경》

22회

2002년

선정주

《바위에 대하여》

23회

2003년

서벌

《뒤늦게 캔 느낌》

24회

2004년

한분순

《잔상》

25회

2005년

박시교

《북한산 더불어》

26회

2006년

민병도

《보리밟기》

27회

2007년

이한성

《지팡이》

28회

2008년

이우걸

《새벽》

29회

2009년

김영재

《잡기(雜器)》

30회

2010년

유재영

《떠나는 가을길》

31회

2011년

김연동

《무너지는 우상》

32회

2012년

이지엽

《알》

33회

2013년

이정환

《주상절리》

34회

2014년

박기섭

《오동꽃을 보며》

35회

2015년

서일옥

《병산우체국》

36회

2016년

양점숙

《풍경이 운다》

37회

2017년

오종문

《한 밤, 충(蟲)을 치다》

38회

2018년

-

 - 시상식 무산 -

39회

2019년

정수자

《사막풀》

40회

2020년

신필영

《바다를 암각하다》

41회

2021년

임성구

《논거울》

42회

2022년

진순분

《이인칭으로 부르면》

43회

2023년

서연정

《시 쓰는 챗봇》


 

참조항목

문학상, 시조, 이병기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