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해사

망해사

[ 望海寺 ]

요약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영취산(靈鷲山)에 있는 사찰.
망해사 부도

망해사 부도

종파 한국불교태고종
창건시기 신라
창건자 헌강왕
소재지 울산 울주군 청량읍 율리

한국불교태고종에 소속된 사찰이다. 신라 헌강왕(재위: 875∼886)이 창건하였다. 당시에는 망해사라는 이름 이외에 신방사(新房寺)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삼국유사》에 창건에 얽힌 설화가 전한다. 권2 〈처용랑망해사조〉에 따르면, 헌강왕이 개운포(開雲浦: 현재의 울산광역시)에 유람을 다녀오다가 갑자기 구름과 안개에 덮여 길을 잃고 말았다. 신하에게 물으니 동해의 이 심술을 부린다며 좋은 일을 해야 벗어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에 왕이 용을 위해 근처에 절을 지으라고 명령하였다. 왕의 말이 끝나자마자 구름이 걷히더니 동해의 용이 아들 7명을 데리고 나타났다. 용은 왕의 덕을 칭송하며 노래하고 춤을 추었다. 용은 또한 아들 하나를 보내 왕을 돕도록 하였으니 그가 바로 처용(處容)이었다. 왕은 뒤에 영취산 동쪽에 절을 지어 망해사 또는 신방사라 불렀다고 한다.

고려시대의 연혁은 전하지 않는다. 1960년대에 절을 중창하면서 출토된 기와에 적힌 명문(銘文)에 따르면, 1544년(조선 중종 39)에 중건한 것으로 보인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되었다고 하나, 1786년(정조 10) 편찬된 《울산부여지도(蔚山府與地圖)》에는 망해사가 영취산 동쪽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17∼18세기에 다시 중창하였음을 알 수 있다. 김정호(金正浩)가 만든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에도 나오지만, 1899년(광무 3) 편찬된 《울산읍지》에는 폐사지로 기록되어 있어 1861∼1899년 사이에 폐사된 듯하다. 1957년 영암(影庵)이 중창하고, 1988년부터 혜학(慧學)이 대웅전을 중건하는 등 불사를 일으켜 오늘에 이른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절에 망해대(望海臺)가 있어서 멀리 바다가 보이므로 선비들이 자주 찾아와 시를 읊었다는 기록이 있다. 실제로 정포(鄭浦)가 지은 〈망해대〉라는 시가 전하나, 현재의 절에서는 바다가 보이지 않는다. 절이 있는 곳에서 산 정상 쪽으로 100m쯤 올라가면 넓은 터가 나타나는데 여기에서는 바다가 보여 이곳이 망해대터로 추정된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과 삼성각·종각·요사채 2동이 있고, 유물로는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173호로 지정된 망해사지석조부도 2기가 있다. 2기 모두 대웅전 북쪽 50m 지점에 동서 방향으로 서 있으며 형태가 똑같아 고승 1명의 사리를 나누어 모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동쪽 부도는 일제강점기 때 도굴당하여 마멸된 채 쓰러져 있던 것을 1960년에 복원하였으나 상륜부는 소실되었다. 통일신라 시대의 전형적인 팔각원당형 부도로 1990년 11월에 다시 복원하였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