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가도

책가도

[ 冊架圖 ]

요약 책장과 서책을 중심으로 하여 각종 문방구와 골동품, 화훼, 기물 등을 그린 그림. 18세기 후반 정조 재위 시에 궁중회화로 유행하여 19세기 이후 민화로 확산되었다.
책가도 병풍(冊架圖屛風)

책가도 병풍(冊架圖屛風)

책거리(冊巨里) 또는 책거리그림, 문방도(文房圖), 문방기명도(文房器皿圖), 서가도(書架圖), 책탁문방도(冊卓文房圖) 등의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책가도와 책거리를 통용하기도 하지만, 책장이 있는 것을 책가도, 책장이 없는 것을 책거리로 구별하기도 한다. 높게 쌓아놓은 책더미와 서재의 여러 가지 일상용품을 적절히 배치한 정물화풍의 그림으로, 전통 장식화 및 민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연원과 발전

중국 청대(淸代)의 다보각경도(多寶閣景圖) 또는 다보격경도(多寶格景圖)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다. 다보각 또는 다보격은 원래 중국에서 골동품을 진열하던 장식장으로서 청나라에 이르러 가구의 일종으로 크게 유행하였는데, 이를 그림으로 묘사한 것이 다보각경도 또는 다보격경도이다. 이탈리아 선교사로서 청나라에 정착하여 강희제·옹정제·건륭제 3대에 걸쳐 궁중화가를 지낸 카스틸리오네[한자명 낭세녕(郞世寧)]가 선 투시도법과 명암법을 사용하여 《다보격경도》를 그렸는데, 이것이 책가도의 원류로 추정된다.

18세기 후반에 중국과의 문물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청나라 사신으로 간 부연사(赴燕使) 일행을 통하여 다보격경도풍의 그림들이 조선에 유입된 뒤, 조선의 상황에 맞게 번안되어 책가도가 출현하였다. 중국의 다보각경도가 보물이 중심인 데 비하여 초기의 책가도는 책이 중심이었는데, 이는 정조와 관련이 있다. 문치(文治)를 추구한 정조는 책가도를 왕권 강화와 백성 교화에 활용하여 자비대령화원(差備待令畵員)들에게 그리게 하였으며, 어좌 뒤에 배치하던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 병풍을 치우고 책가도 병풍을 세울 정도로 장려하였다. 이러한 임금의 장려에 힘입어 양반 집안에서 저마다 책가도 병풍을 설치하여 유행하게 되었다.

내용과 표현 형식

원래는 책장과 서책을 중심으로 하여, 화면 전체를 채운 책장 모양의 격자 구획 안에 책갑으로 묶인 서책과 향로·필통·붓·먹·연적·도장 등의 문방구를 비롯하여 선비의 격조에 맞는 도자기·청동기·화병·화분·부채 등을 주요 소재로 다루었다. 또한 선비의 여가생활과 관련된 술병·술잔·담뱃대·담배함·악기·도검·바둑판·골패·시계·안경 등도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19세기 이후 민간으로 확산되어 병풍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책장이 없는 형식이 더 많이 그려졌다. 책장 대신 규모가 작은 탁자나 사랑방 가구가 활용되고 작은 화면에 많은 것을 담기 위한 방편으로 서책을 비롯한 물품들이 한 덩어리로 표현되었으며, 서책보다는 다양한 기물과 화훼 및 과물(果物) 등에 더 비중을 둔 그림들이 등장하였다. 그림 속에 등장하는 각종 기물은 조선 후기의 사회적 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가 된다.

표현 형식은 초기에는 책장으로 구획된 화면에 소재들이 좌우 대칭을 이루며 정확히 균형을 이루다가 점차 정물화처럼 자유로운 배치 구도를 취하고 색채도 화려하게 구사되었다. 화법 면에서 전문 화가들이 그린 대형 병풍의 책가도는 대체로 서양화법의 원근법과 명암법을 잘 소화하여 서가를 입체적으로 표현하였다. 이와 상대적으로 서책보다 기물 등에 중점을 둔 그림들에서는 보는 이가 그림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림이 보는 이를 바라보는 듯한 역원근법(逆遠近法)이 사용되고, 다시점(多視點) 구도와 평면화법이 사용된 것이 특징이다.

현존하는 책가도

장한종(張漢宗)의 《책가도 병풍》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책가도이다. 세로 195㎝, 가로 361㎝ 크기의 8폭 병풍으로, '쌍희(囍) 자' 문양을 새긴 휘장이 걷어 올려져 책장이 드러나는 독특한 구성이다. 서양화법의 선 투시도법과 명암법을 사용하여 8칸 4~5단의 책장에 서책과 중국산 도자기, 옥기, 청동기 유물, 문방구, 과일, 화훼 등을 입체감 있게 배치하였다.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형록(李亨祿)은 책가도의 대표적 화가로, 57세에 이응록(李膺祿)으로, 64세에 이택균(李宅均)으로 개명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책가도 10폭 병풍 冊架圖十幅屛風》은 세로 153㎝, 가로 352㎝ 크기의 10폭짜리 병풍으로, 왼쪽에서 두 번째 폭에 이응록인(李膺祿印)이라 새긴 도장 그림으로 은인(隱印)을 하여 이응록으로 개명한 뒤의 작품임을 알 수 있다. 이 작품은 서양화의 투시도법과 명암법, 특유의 섬세한 세부 묘사를 통하여 실제 책장과 흡사할 정도로 사실적이고 입체감이 뛰어난 성과를 이루었다. 또한 《책가문방도 팔곡병 冊架文房圖八曲屛》은 세로 140.2㎝, 가로 468㎝ 크기의 8폭 병풍으로,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 이밖에 국립민속박물관에 소장된 《책가도 6폭 병풍 冊架圖六幅屛風》, 간송미술관에 소장된 《문방기명도 文房器皿圖》, 경산시립박물관에 이응록 이름으로 소장된 《책가도》, 통도사 성보박물관에 이택균 이름으로 소장된 《책가도병풍》 등이 있다.

참조항목

민화, 서재, 한국화

역참조항목

이형록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