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부채

요약 손에 쥐고 흔들어서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덜거나 불을 일으키는 데 쓰는 물건이다.
합죽선

합죽선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는 일찍부터 부채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서양 사람들은 동양에서 건너간 부채를 진주 ·비단 등과 함께 매우 귀중한 물건으로 여겼다.

특히 접부채[摺疊扇]는 극동(極東)의 명품으로, 일본에서는 7세기부터 사용하였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송(宋)나라 때 접부채가 처음 만들어졌고 명(明)나라 때 유행하였다.

이른바 당선(唐扇)이라 부르는 것으로, 부챗살로 대[竹] 이외의 백단(白檀) ·흑단(黑檀) ·상아(象牙) 등을 사용하고, 금 ·은을 장식한 부채가 등장하였다. 15~16세기경부터 서양인의 동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교역(交易)의 물결을 타고 중국의 부채가 유럽에 알려졌다.

그후 17세기에는 프랑스의 파리를 중심으로 부채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유럽에서 부채가 전성기를 맞은 것은 18세기부터이며, 여성의 일상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장식품이 되었다. 상아 ·진주조개 ·비단 ·양가죽 등을 사용한 부채에 여러 가지 풍속도를 그려넣은 것들이 인기를 끌었다. 특히 브리제라고 하는 노송나무 모양의 부채를 좋아했다. 19세기 초에는 한때 접부채가 부활했으나 그 뒤 점차 쇠퇴하고, 인쇄한 부채가 등장하였다.

한국에서는 가는 대오리로 살을 만들고, 종이 또는 헝겊을 발라 부채를 만들었는데, 가장 질이 좋은 부채는 전북특별자치 전주, 전남 남평 ·나주 등지에서 나는 부채이다.

종류에는 승두선(僧頭扇) ·어두선(魚頭扇) ·사두선(蛇頭扇) ·합죽선(合竹扇) ·반죽선(班竹扇) ·외각선(外角扇) ·내각선(內角扇) ·삼대선(三臺扇) ·이대선(二臺扇) ·단목선(丹木扇) ·채각선(彩角扇) ·소각선(素角扇) ·광변선(廣邊扇) ·협변선(狹邊扇) ·유환선(有還扇) ·무환선(無還扇) ·죽절선(竹節扇) ·태극선(太極扇)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부채는 본래 더위를 쫓는 데 쓰였으나 점차 의례용 또는 장식용으로도 쓰이게 되었다. 전통혼례 때 신랑 ·신부의 차면용(遮面用)으로 쓰는 것은 의례용이며, 화가(畵家) ·서가(書家) ·문인(文人) 등이 부채에 그림이나 시 구절을 써 넣은 것을 집안에 보관하는 것은 예술취미이기도 하나 장식의 역할도 한다. 그 밖에 한국 고전무용에는 부채를 가지고 춤을 추는 부채춤이 있으며, 무당들이 굿을 할 때에도 부채를 사용한다. 근래에는 선풍기 ·에어컨디셔너에 밀려 부채의 수요는 점점 감소하고 있으나, 관광객을 위한 특산품으로, 또 여유와 멋을 찾는 사람들의 장식품으로 사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