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선림원지

양양 선림원지

[ 襄陽 禪林院址 ]

요약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서림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옛 절터. 1982년 11월 3일 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양양 선림원지

양양 선림원지

지정종목 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
지정일 1982년 11월 3일
관리단체 양양군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서림리 424번지
시대 통일신라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크기 면적 5,385㎡

1982년 11월 3일 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양양 진전사지와 더불어 한국 선종(禪宗)의 개화를 엿볼 수 있는 대표적인 폐사지로 꼽힌다. 선림원은 804년(애장왕 5) 무렵 순응(順應)이 세운 절로 알려져 있다. 순응은 802년 해인사를 세운 승려로, 이로써 선림원이 신라 불교 최대 종파였던 화엄종에서 세운 사찰임을 알 수 있다.

선림원은 이후 9세기 중엽 홍각에 의해 대대적으로 중수되었는데, 홍각은 선종 승려로 선림원이 이때 선종 사찰로 전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당시 화엄종 승려들이 대거 선종으로 이적한 사실을 입증해준다. 1985년 동국대학교 발굴조사단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900년 전후에 대홍수로 인한 산사태로 절터가 완전히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 있는 부도비와 석등, 삼층석탑 등은 1965년에 복원한 것이다.

절의 가람배치는 삼층석탑 뒤에 앞면 3칸, 옆면 4칸에 맞배지붕의 금당건물이 있었으며, 주춧돌이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어 오른쪽에 금당과 잇대어 또 하나의 건물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서편 언덕의 석등 북쪽에서도 앞면 3칸, 옆면 2칸의 건물지가 발굴되었다.

문화재로는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보물), 양양 선림원지 석등(보물),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보물), 양양 선림원지 승탑(보물)가 있으며, 이밖에 800년경의 것으로 보이는 금은동불입상과 금동풍탁, 납석제소탑, 귀면와, 암막새 기와, 수막새 기와 등이 출토되었다.

특히 이 절에 있었던 신라 범종은 양식이 독특하여 한국 범종 연구에서 귀중한 자료였으나 6·25전쟁 때 불에 타 형태를 알아볼 수 없게 된 채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