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부용리 고분

영동 부용리 고분

[ 永同 芙蓉里 古墳 ]

요약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고분. 1981년 5월 1일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영동 부용리 고분

영동 부용리 고분

지정종목 충청북도 기념물
지정일 1981년 5월 1일
소재지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 73번지
시대 신라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1981년 5월 1일 충청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영동농공고등학교 옆, 서쪽은 산으로 둘러져 있고 앞쪽은 동쪽을 향한 양지바른 밭 가운데에 있다. 지상의 봉분(封墳)은 유실되어 없어졌으나, 내부구조는 지하에 잘 보존되어 있다. 남북으로 긴 직사각형에 가까운 널방의 동벽쪽에 널방으로 들어오는 연도가 달린 ㄱ자형 평면의 돌방[石室] 고분이다.

널방의 크기는 남북길이 350cm, 동서폭 210cm이며 벽의 높이는 145cm이다. 네 벽은 네모꼴로 다듬은 돌로 쌓았는데 남벽과 북벽은 수직으로 올라갔고, 동서의 두 벽은 위쪽이 안으로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축조되었다. 뚜껑은 큰 판석(板石) 두 장을 잇대어 덮었다.

부장(副葬) 유물을 확인하지 않아 정확한 축조연대를 알 수 없으나, 신라시대의 양식으로 추정된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영동 부용리 고분 영동군 부용리에 있는 신라시대 무덤 충청북도 기념물 제34호 영동군 영동읍 부용리에 있는 신라시대 양식으로 조성된 직사각형 석실무덤으로 정면이 동쪽 방향을 향하는 양지바른 밭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내부구조는 주검과 부장품을 안치한 널방(현실)과 무덤의 입구에서 널방으로 들어가는 통로인 널길(羨道:연도)로 구성되어 있다. 널방은 남북 길이 350㎝, 동서폭 210㎝이며, 벽의 높이 145㎝규모로 남북벽은 수직으로, 동서벽은 위쪽이 안으로 좁아지는 구조이며 12~14단의 돌로 쌓여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