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숭원 호성공신교서

박숭원 호성공신교서

[ 朴崇元 扈聖功臣敎書 ]

요약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 있는 박숭원(朴崇元:1532~1593)에게 내린 공신녹권. 1988년 9월 30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박숭원 호성공신교서

박숭원 호성공신교서

지정종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8년 9월 30일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 (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문서류 / 국왕문서 / 교령류

박숭원에게 내려진 녹권(錄券)으로 1988년 9월 30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필사된 뒤에 ‘시명지보(施明之寶)’의 도장이 찍혀 있는데, 내용은 박숭원의 공을 찬양하는 교서·호성공신 책록의 경과와 공신에 대한 포상 내용, 공신의 명단 등으로 역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박숭원은 조선 선조 때의 공신으로 본관은 밀양, 자는 상화(尙和), 시호는 충정(忠靖)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왕을 모시고 의주(義州) 행재소(行在所)에 호종하다가 병사하였는데 이때의 공로가 인정되어 1604년(선조 37) 호성공신(扈聖功臣) 2등에 책록되었다. 호성공신이란 선조가 의주까지 몽진할 때 시종하는데 공이 큰 이항복(李恒福) 등 86명에게 내린 훈호(공이 있는 사람에게 주는 칭호)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