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왕후 생가

정순왕후 생가

[ 貞順王后 生家 ]

요약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가 태어난 곳. 1988년 8월 30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정순왕후 생가

정순왕후 생가

지정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지정일 1988년 8월 30일
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한다리길 39 (유계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탄생지

1988년 8월 30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音岩面) 유계리에 있다. 조선 효종 때 예조참의를 지낸 김홍욱(金弘郁:1602~1654)의 집이다. 노부를 극진히 모시고 산다는 소식을 들은 효종이 아버지 김적(金積)에게 하사한 것이다.

이후 김홍욱의 4대손이자 정순왕후의 아버지 김한구에게 이어졌으며, 정순왕후(1745~1805)가 그의 맏딸로 이 집에서 태어났고, 1759년(영조 35)에 51세 연상인 영조와 결혼하여 왕비가 되었다.

ㅁ자집 목조 기와집으로, 안채는 정면 5칸 측면 2칸, 사랑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이며, 면적은 각각 132㎡, 53㎡이다. 안채는 오른쪽과 왼쪽에 각각 3칸을 덧붙여 ㄷ자형을 이루는데, 중앙 3칸은 넓은 대청이다. 대청 오른쪽에 곳간 1칸과 2칸의 안방 2칸, 그리고 부엌 2칸과 광 1칸이 이어져 있으며, 왼쪽에 제실, 건넌방, 광 등이 각각 1칸씩 있다.

사랑채는 온돌방 2칸, 각각 1칸씩의 곳간과 부엌 및 광으로 구성되었다. 마당을 향한 곳에 툇마루를 두었는데 사랑채에는 바깥쪽으로 툇마루를 두었다. 광 옆으로 사랑채와 안채로 통하는 중문이 나 있다. 화강암으로 된 기단 위에 덤벙주춧돌(한 곳에만 놓은 네모뿔형의 주춧돌)을 놓고 그 위에 높이 3.36m의 직사각형 기둥을 세웠다.

가구(架構)는 5량가구(동자기둥과 대공으로 처마도리·중도리·마룻대 등의 5개의 도리가 얹혀진 지붕틀을 꾸민 집)이며, 종량(宗樑:동자기둥과 고주 위에 이중으로 거는 보) 윗부분에 사다리골 대공(臺工:마룻대를 받는 짧은 기둥)을 가설하여 중도리(서까래를 받치기 위해 동자기둥 중간에 가로 얹는 도리)와 함께 지붕의 하중을 받도록 하였으며, 지붕은 맞배지붕이고, 처마는 홑처마이다. 후원·안채·사랑채를 둘러싼 담장은 자연석 기와담장이다.



 

역참조항목

도비산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정순왕후 생가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가 태어난 집 충청남도 기념물 제68호 1745년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가 태어난 집이다. 정순왕후는 오흥부원군 김한구의 딸로 1759년 15세 때 왕비로 책봉되었는데 당시 영조의 나이는 65세였다. 정순왕후 생가가 있는 서산시 음암면 유계리는 한다리마을이라고도 불리며, 경주 김씨의 집성촌이다. 전형적인 충청도 지역의 가옥 형태를 보여준다. 사랑채는 우진각지붕이며 안채는 팔작과 맞배지붕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안채와 사랑채가 마당을 두고 있는 "ㅁ"자 집 구조이며 당시 규모가 큰 집이었지만 현재는 안채로 사랑채만 남아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