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자집

ㄱ자집

요약 건물의 종마루가 ㄱ자형으로 구부러진 집으로, 건물의 종류나 양식에 붙여진 것은 아닌데, 서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서울형 주택과 경기, 충청, 황해 남부, 강원 남부에 많은 중부형 주택의 경우 안채 방의 배치에 따라 건물이 ‘ㄱ’자형이 된다.
청주 부강리 고가

청주 부강리 고가

건물의 평면이 ‘ㄱ’자 모양이나 ㄱ자집이라는 이름이 건물의 종류나 양식에 붙여진 것은 아니다. 한국의 전통적인 주택 건축 가운데는 지역의 특성에 따라 주택의 안채 평면이 ‘ㄱ’자형으로 된 것이 있다. 서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서울형 주택과 경기, 충청, 황해 남부, 강원 남부에 많은 중부형 주택을 말하며, 안채 방의 배치에 따라 건물이 ‘ㄱ’자형이 된다.

서울형 주택은 도시형 주택의 특징에 따라 일반적으로 대지 경계선에 잇대어 안채 ·사랑채 ·대문채 등을 연결하여 하나의 건물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집의 규모에 따라 ‘ㄱ’자, ‘ㄷ’자, ‘ㅁ’자형이 되지만 안채만 볼 때는 ‘ㄱ’자형이 된다. 안채는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안방과 건넌방이 배치되고, 부엌은 안방 앞에 붙어 평면이 ‘ㄱ’자형이 된다. 대부분 안방을 건넌방보다 넓게 만들며, 부엌 끝에는 온돌방이 더 붙는다.

중부형 주택은 지방형 주택이므로 대지 경계선에 잇대어 짓는 경우는 드물고, 안채나 사랑채 등이 서로 독립하여 대지 안의 적당한 위치에 세워지며, 대문채와 행랑 및 담이 대지 경계선에 설치된다. 안채의 평면은 ‘ㄱ’자형으로, 서울형 주택의 안채 ·부엌과 마찬가지로 대청 좌우에 온돌방을 배치하여 안방과 건넌방으로 하고, 안방 앞에 방을 하나 또는 둘을 덧붙여서 그 끝에 부엌을 두어 ‘ㄱ’자형을 이룬다. 중류 이상 주택의 경우에는 도시와 지방의 구별 없이 집 전체의 규모가 커지고 여러 종류의 방이나 광이 많아지므로, 주택의 안채가 곳간 등과 서로 연결되어 ‘ㄱ’자나 ‘ㄷ’자형 평면을 이루는 경우가 많고, 안채도 방이 많아져서 ‘ㄱ’자형이 되기도 한다. 중류 이상 주택의 사랑채나 별당 등 건물이 ㄱ자집으로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