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방산성

배방산성

[ 排方山城 ]

요약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공수리에 있는 성. 1988년 8월 30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충청남도 기념물
지정일 1988년 8월 30일
관리단체 아산시
소재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공수리 산49
시대 백제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크기 길이 1.5㎞

1988년 8월 30일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신흥리 소재 성재산에 있는, 길이 약 1,500m의 석축으로 이루어진 산성이다. 대부분 무너져 돌무더기만 보이나 성의 남쪽에 남아 있는 길이 15m 정도의 석축에서 그 당시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사용한 석재는 길이 약 12m, 두께 50㎝ 정도의 자연석으로 앞면만 다듬어 성벽을 쌓았다. 적심돌의 단면을 보면 토사를 섞지 않은 석재와 잡석을 이용하여 너비 3∼4m에 약 40단을 모두 길이로 쌓기로 하였다. 성벽은 하단보다 상단에서 약간 안쪽으로 기울도록 쌓았는데 높이는 5∼6m 정도로 추정된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의하면 배방산성의 둘레가 3,313척이고 높이가 13척이며 2개의 우물군창(軍倉)이 있었다고 전하는데 현재에도 건물 터로 추정되는 곳이 여러 군데 있다. 축성 시기는 성내에 백제시대 토기 조각들이 흩어져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백제시대에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참조항목

문화재, 배방읍,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배방산 배방읍 중앙에 위치하는 산으로 남쪽의 태화산 줄기기 서쪽으로 뻗어있고 서남쪽에 설화산을 마주보고 있다. 정상에 올라서면 아산시와 천안시가 한눈에 조망되는 곳으로 예전부터 군사적인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정상에는 백제시대에 축성한 배방산성의 유적이 남아 있다. 배방면이라는 이름도 배방산에서 유래한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