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정지산 유적

공주 정지산 유적

[ Archaeological Site in Jeongjisan Mountain, Gongju , 公州 艇止山 遺蹟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정지산에 있는 백제시대의 유적. 2006년 11월 6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공주 정지산 유적

공주 정지산 유적

지정종목 사적
지정일 2006년 11월 6일
소장 공주시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산1번지 외
시대 백제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 유적분포지
크기 면적 8,970㎡

1998년 7월 28일 충청남도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국립공주박물관의 발굴조사 실시 결과 국가차원의 제의시설로 추정되는 중요 유적으로 평가되어 2006년 11월 6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백제의 왕실제사유적으로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과 인접한 곳에 있다. 8,970㎡ 가량 되는 이 일대의 내부시설물이 국내에서 최초로 조사된 특수한 구조물이어서 자료가 부족한 백제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시설물은 기존의 가옥을 모두 철거한 후 능선을 깎아내고 넓고 평탄한 대지에 만들어졌으며, 공주 공산성이 바라다보이는 남동쪽으로는 네댓 겹의 나무울타리를 돌리고, 송산리 고분군 쪽으로 연결되는 능선에는 약 1m 내외의 좁은 출입구만 남긴 채 너비 5m, 깊이 2m 이상의 넓고 깊은 도량을 파고 내부에 몇 채의 건물을 축조하였다. 이곳에서 화려한 장식이 부착된 장고형 그릇받침 등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백제문화권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1995년 3월 24일 착공한 백제큰길(공주와 부여를 잇는 백제문화권개발도로) 공사를 진행하는 도중 현장이 지나갈 예정이었던 정지산 정상이, 왕이 하늘에 천제(天祭)를 지내던 제단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터널로 설계가 변경되었다.

역참조항목

산성동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공주 정지산 유적 공주 정지산에 있는 백제시대 제사 유적 사적 충남 공주시 금성동 정지산에 있는 백제시대 왕실 제사유적으로 백제의 웅진 도읍기에 세워진 국가 제의 시설로 추정되고 있다.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에 인접한 곳에 위치한다.  정지산 정상의 유적 시설물은 능선을 깎아내고 넓고 평탄한 대지에 만들어졌는데 공주 공산성이 바라다보이는 남동쪽으로는 나무울타리를 세우고, 송산리 고분군 쪽으로 연결되는 능선에는 너비 5m, 깊이 2m 이상의 넓고 깊은 도랑을 판 흔적이 있다. 백제문화권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1995년 3월 착공한 공주와 부여를 잇는 백제문화권개발도로 공사를 진행하는 도중, 정지산 정상이 백제 왕이 하늘에 천제(天祭)를 지내던 제단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져 설계가 일부 변경되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