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 Daeseongjeon Shrine and Myeongnyundang Lecture Hall of Seongjuhy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 星州鄕校 大成殿 및 明倫堂 ]

요약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2008년 9월 3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2008년 9월 3일
소장 경북향교재단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2길 36-12 (예산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1985년 8월 5일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다가 2008년 9월 3일 보물로 변경되었다. 경북향교재단 소유이며 성주향교에서 관리한다.

성주읍 예산리 교촌마을에 있는 성주향교는 1398년(태조 7)에 창건되었다.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대성전과 강당인 명륜당을 앞뒤로 배치하는 일반적인 향교와 달리 성주향교는 대성전을 오른쪽, 명륜당을 왼쪽에 배치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기와를 얹은 겹처마 맞배지붕집이다. 두리기둥을 사용하였으며 향교에서는 보기 드문 내외 2출목(二出目)의 다포 양식으로 가구를 짰다. 안에는 공자와 조선 18현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여기에서 봄가을에 공자에게 제사를 드리는 석전제(釋奠祭)를 지낸다.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고 마당 양쪽에 동무(東廡)와 서무(西廡)가 있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겹처마 맞배지붕집이다. 두리기둥을 사용하였으며, 정면 5칸 중 3칸은 대청이고 양쪽 옆에는 앞쪽에 툇마루를 둔 온돌방으로 구성된 중당협실형(中堂夾室型)이다. 온돌방에는 다락을 설치하여 수장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평소 학생들을 가르치는 강당으로 사용되었으며, 서쪽에 부속시설인 고직사(庫直舍)가 있다.

향교건축으로는 보기 드문 다포 형식으로 지었으면서도 천장을 설치하지 않고 노출하였으며, 유교건축에 걸맞게 화려하지 않고 간결하게 처리하였다. 창호의 구성에서 고식들이 남아 있고 평면구성이나 가구 수법에서 조선 중기의 건축양식을 간직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