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풍산김씨 종택

안동 풍산김씨 종택

[ 安東豊山金氏宗宅 ]

요약 경북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五美里)에 있는 조선시대의 가옥.
안동 풍산김씨 종택

안동 풍산김씨 종택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황소나무길 6(오미리 233)
시대 조선
종류/분류 가옥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에 오의동 참봉댁(五義洞參奉宅:국가민속문화재 179), 안동 풍산김씨영감댁(安東豊山金氏令監宅:경상북도 민속문화재 39) 등과 함께 자리하고 있다.

조선 선조 때의 학자 유연당(悠然堂) 김대현(金大賢)이 창건하였으나 임진왜란 때에 소실되고 1600년(선조 33)에 통훈대부(通訓大夫)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지낸 김봉조(金奉祖)가 다시 건립하였다고 한다.

정면 8칸, 측면 7칸의 ㅁ자집 주택으로 경상북도 지방의 일반적인 주택형태를 갖추고 있다. 안채와 사랑채, 중문채, 양쪽 익랑이 연결되어 ㅁ자 형태이다. 안채와 사랑채는 5량가 납도리집이고, 양쪽 익랑과 중문채는 3량가 납도리집이다.

사랑채는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안채 전면 우측에 있는데, 기단을 높이 조성하고 팔작지붕을 올려 주인이 거처하는 곳으로서의 격식을 갖추었다. 안마당으로 들어가는 중문 앞에 토벽을 쌓아 내부가 밖에서 들여다보이지 않게 차면담을 설치한 것이 특징이다. 좌측으로는 별도의 작은 사랑채를 두어 사랑채가 둘로 되어 있는데, 이는 일반 민가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형태이다. 풍산김씨의 후손 김원재(金元在)가 소유·관리하고 있다.

1982년 12월 1일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38호로 지정되었으나, 2015년 8월 21일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

참조항목

김봉조, 풍산읍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