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송소종택

안동 송소종택

[ Songso Head House, Andong , 安東 松巢宗宅 ]

요약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이상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 가옥. 1984년 12월 24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안동 송소종택

안동 송소종택

지정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84년 12월 24일
소재지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샘골길 43-40 (이상리)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크기 사당 정면 3칸 측면 1칸, 이계서당 정면 4칸 측면 2칸

1984년 12월 24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송소(松巢) 권우(權宇)의 종택으로 권우가 직접 지었다고 전하나 대청 서쪽 보에서 발견된 묵서명에 따르면 1592년(선조 25)에 상량한 것임을 알 수 있다. ㅁ자형의 몸채와 一자형의 강당·사당으로 구성되었다. 보관 중인 《이계재사도록(李溪齋舍都錄)》에 따르면 몸채는 재사로, 강당은 이계서당(李溪書堂)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형적인 재사 형식이며, 뒷산에 사당을 별도로 지어 문간채, 안채, 사당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건물은 층이 진 지형에 정남향을 하고 있다. 건물구조는 ㄷ자형의 문간채와 一자형의 안채가 튼口자를 이루고, 정면 3칸, 측면 1칸의 사당은 안채의 북서쪽에 높게 자리잡고 있다. 문간채의 남동쪽에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이계서당이 있다. 현재 안동권씨의 후손 권응룡(權應龍)이 소유·관리하고 있다.

권우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 안동, 자 정보(定甫)이다. 경학에 능통한 인재(忍齋) 권대기(權大器)의 장남으로 성리학에 전념하여 학명이 높았다. 생원진사시를 거쳐 경릉참봉(敬陵參奉)을 지냈고, 후에 통정대부 승정원 좌승지로 추증되었다. 문집에 《송소집》이 있다.

참조항목

권우, 와룡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