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홍 선대 증직 교지

정인홍 선대 증직 교지

[ 鄭仁弘 先代 贈職 敎旨 ]

요약 내암 정인홍의 선대와 배위 및 후손에게 내린 증직교지.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인홍 선대 증직 교지

정인홍 선대 증직 교지

지정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97년 1월 30일
소재지 경상남도 합천군 황강옥전로 1558 (쌍책면, 합천박물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문서류 / 문서류

1997년 1월 3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1602년(선조 35)에서 1615년(광해군 7)에 조정에서 내린 증직교지로 총 17점이다.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의병장, 정치가인 내암 정인홍은 가야 출신으로 조식(曹植)의 수제자였다. 1573년(선조 6)에 학행으로 천거되어 6품직에 올랐고, 당파가 동서로 양분되자 동인편에 섰다가 해직당하고 낙향하였다. 1589년 정여립옥사(鄭汝立獄事)를 계기로 동인이 남북으로 분립될 때 북인에 가담하여 영수(領首)가 되었다. 선조 말년 북인이 소북·대북으로 분열되었을 때 대북을 영도하였으며, 인목대비(仁穆大妃)에게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이 출생하자 적통(嫡統)을 주장하며 영창대군을 옹립하려는 이효원에 대항하여 광해군을 적극 지지하였다.

1607년 이효원(李效元)의 탄핵으로 유배되었다가 광해군의 즉위와 함께 유배에서 풀려나 대사헌에 기용되어 대북정권을 수립하였다. 1632년 인조반정으로 참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