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연산동 고분군

부산 연산동 고분군

[ 釜山 蓮山洞 古墳群 ]

요약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분포한 삼국시대의 무덤. 2017년 6월 30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부산 연산동 고분군

부산 연산동 고분군

지정종목 사적
지정일 2017년 6월 30일
관리단체 연제구
소재지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산 90-4
시대 삼국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크기 면적 66,068㎡

1972년 6월 26일 부산광역시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17년 6월 30일 국가지정유산 사적으로 승격되었다. 배산(盃山)의 북쪽 아래에서 동래쪽으로 뻗어나온 능선의 정상부를 따라 남아 있는 이곳의 옛 무덤은 모두 11기에 이른다. 대형성토분구를 가진 고분 10여 기가 일렬로 배치되었고, 대형분들 주변의 구릉 경사면에는 중, 소형분들이 배치되어 있으며, 도로가 개설되면서 잘려나간 부분에 몇 기의 대형분이 더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정식 발굴을 통한 학술조사가 없어 정확한 구조를 알 수 없으나, 막돌을 이용하여 이를 맞추어 사벽(四壁)을 쌓아올려 내부가 길쭉한 직사각형이 되게 하고, 위에 여러 개의 뚜껑돌을 덮어 무덤 자체의 외부를 흙을 쌓은 구덩식 돌방무덤으로 여겨진다. 주변에서 발견되는 토기편으로 보아 이곳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동래 복천동 고분군과 함께 옛 가야시대 지배계급의 집단 묘역임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도굴되었으나 부산지방에서는 무덤의 내부구조와 외부의 봉토가 완전하게 남아 있는 유일한 가야시대 무덤으로서 부산의 옛 무덤 연구에 귀중한 유적이다.

유물들은 토기류로는 고배, 대부장 경호, 원저단경호, 뚜껑 등이 출토되었는데 모두 신라의 토기이다. 철기류로는 4호분에서 화살통, 금동금구편, 철도자, 철촉, 철부 등의 무구류와 금동장행엽, 등자 등의 마구류 및 유리제의 경옥 등이 주피장자의 목부분인 남쪽에서 출토되었고, 부곽에서는 다수의 판갑편이 출토되었다. 또한 쇠못으로 고정시킨 철제 소찰, 철제관모 외에 환두대도(環頭大刀) 등의 중요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8호분에서 출토된 찰갑, 판갑 등의 갑주류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지역의 수장층은 무장적인 성격뿐만 아니라 정치적인 권력과 군사력을 동시에 장악, 행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역참조항목

배산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