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굴

발굴

[ excavation , 發掘 ]

요약 일반적으로는 땅속에 파묻힌 것을 파내는 일을 뜻하지만, 고고학에서는 과거의 역사적 유물 ·유적(遺蹟)을 파내어 지상으로 드러내는 일.
공룡 화석의 발굴현장

공룡 화석의 발굴현장

고고학에서의 발굴은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주요 수단의 하나로서, 고고학자는 발굴에 의해서만 유적 구조를 관찰할 수가 있으며, 유적에서 발견되는 유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가 있다. 발굴 대상은 지하(드물게는 수중)에 매장되어 존재하는 고고학 자료인데, 발굴은 고고학자가 고고학상의 목적을 가지고 일정한 계획하에 조직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또한 고고학의 발굴조사는 고대의 기물(器物) ·금은제품(金銀製品) 등 고대인류의 유물을 발굴할 뿐만 아니라, 과거의 인류가 생활하던 시대의 자연환경 ·생활환경을 복원(復原)하여, 인류가 지구상에 출현한 때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생활환경의 변화를 연구하고 밝히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고고학은 우연히 발굴된 유물을 대상으로 하여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알려고 한 데서 출발되었다. 그러나 그와 같은 뜻에서 발굴이 성행되면서 겨우 호기심이 강한 자의 취미 영역을 벗어나 근대과학으로서의 성격을 가진 고고학이 성립되었고, 또한 그들 고고학자에 의해서 직접 발굴이 실현되었다.

참조항목

고고학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