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 남산 봉수대

기장 남산 봉수대

[ 機張 南山 烽燧臺 ]

요약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봉수대. 1995년 12월 15일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기장 남산 봉수대

기장 남산 봉수대

지정종목 부산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95년 12월 15일
관리단체 기장군
소재지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죽성리 산52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통신 / 봉수
크기 면적 28,185㎡, 봉돈 지름 2.4m, 둘레 9m

1995년 12월 15일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봉대산의 가장 높은 곳에 돌로 둥글고 높게 단을 쌓고, 그 위에 흙을 덮어 뾰족한 산봉우리처럼 만들어져 멀리서 봐도 모습이 수려하다. 985년(성종 4)에 설치하여 1894년(고종 31) 갑오개혁 때 폐지되었다.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편이다. 면적은 28,185㎡이고, 중앙의 봉돈은 지름 2.4m, 둘레 9m의 돌로 쌓여 있다. 높이 1.5m, 너비 1.5m, 지름 30~40㎝의 화로가 있었다.

경상도 지역의 봉수망 중 간봉 제8호인데, 왜적의 침입을 제일 먼저 알리는 곳으로, 남으로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장산의 남쪽 산봉우리에 있는 간비오 봉화대에, 북으로는 장안읍 임랑리 뒷산에 있는 임랑 봉화대 및 이길 봉수대로 연락하였다.

불빛과 연기의 숫자에 따라 위급한 정도가 정해져 있었고, 궂은 날씨 때문에 신호가 불가능하면 봉수대를 지키던 군사가 릴레이식으로 다음 봉수대에 알렸다. 봉수대의 봉군은 200명이며, 봉수군의 직제는 도별장 1명을 두고, 그 밑에 다시 별장 5명~10명, 감고(監考) 1명, 봉군은 100명씩 배치되어 있었다.

봉수대는 나라에 변란이 발생하였을 때 낮에는 연기, 밤에는 횃불로 신호하여 군사정보를 중앙으로 알리는 옛 통신시설이다. 

참조항목

기장읍, 봉수대

역참조항목

봉수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