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 Joseon wangjo sillok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朝鮮王朝實錄 太白山史庫本 ]

요약 부산광역시 연제구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왕조실록》이다. 1973년 12월 31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지정종목 국보
지정일 1973년 12월 31일
소장 국유
관리단체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소재지 부산광역시 연제구 경기장로 28 (거제동,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시대 조선
종류/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전적류

부산광역시 연제구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왕조실록》 848책이다. 1973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국보 ‘조선왕조실록 태백산본(朝鮮王朝實錄 太白山本)’으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8월 25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태조에서부터 조선 철종 때까지인 1392~1863년 사이에 일어난 일을 기술한 역사서이다. 25대의 왕이 472년간 통치한 조선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책이다. 총 1,893권 888책으로 되어있는 방대한 역사서로, 조선시대 사회, 경제, 문화, 정치, 외교, 법률 등 다방면에 걸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 기록이 집필되는 과정에서는 국왕의 열람도 허가되지 않았을 만큼 엄격하게 집필되어 사료의 진실성과 신빙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이유에서 《조선왕조실록》은 이미 1973년 국보로 지정된 바 있으며 국제적인 가치도 공인받아 1997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의 관리

《조선왕조실록》의 완질은 1,717권에 이르는 것으로 방대한 규모를 보인다. 선왕이 죽고 나면 그 선왕의 재세 시절에 기록해 둔 사초를 바탕으로 실록을 완성하여 재난에 대비하고자 이를 전국 5대 사고(史庫: 실록을 보관하던 창고)에 나누어 보관했다. 이 사고들은 각각 서울에 있던 춘추관사고(春秋館史庫), 강화도에 있던 정족산사고(鼎足山史庫), 봉화에 있던 태백산사고(太白山史庫), 평창에 있던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 무주에 있던 적상산사고(赤裳山史庫)이다.

국보 지정

1973년 12월 31일 《조선왕조실록》이 국보로 지정되었을 때는 정족산사고본 1,181책, 태백산사고본 848책, 오대산사고본 27책, 기타 산엽본 21책, 도합 2,077책이 국보로 지정된 것이었다. 그런데 2006년 일본 동경대학교가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오대산사고본 실록 47책을 기증하면서 이 본들도 국보에 편입되었다. 이후 국가유산청은 2017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과 함께 《조선왕조실록》에 대한 일괄 조사를 통해 소재지를 파악하는 작업을 했다. 이에 1973년 국보에 포함되지 못한 여러 누락본을 찾아냈다. 누락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본 85책,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 9책,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1책, 국립고궁박물관 소장본 1책이다. 이들은 1973년 국보 지정 때 누락되거나 1973년 이후 국외에 있던 것이 국내로 환수되거나 별도로 구입된 것들이다.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소장본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소장본은 봉화 태백산사고본이며 848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본은 태조부터 명종까지 실록은 선조 36년(1603) 7월부터 39년(1606) 3월 사이에 전주사고본을 토대로 만든 4부 중 하나이다. 이 본은 고종 2년(1865) 완성된 『철종실록』에 이르기까지 실록이 편찬되는 대로 계속 내용이 첨가된 것으로 계속 태백산 사고에 전해왔다. 그러던 중 1930년 일제가 경성제국대학으로 이관하였다가 광복 후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으로 남아있었다. 이후 현재 소장처인 국가기록원으로 이관되었다.

가치 및 의의

《조선왕조실록》이 제작되어 후대에 전승되기까지 여러 기관이 나누어 보관하였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