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향교 대성전

현풍향교 대성전

[ 玄風鄕校 大成殿 ]

요약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상리에 있는 현풍향교의 대성전. 1995년 5월 12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현풍향교 대성전

현풍향교 대성전

지정종목 대구광역시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95년 5월 12일
관리단체 경북향교재단
소재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현풍동로 20길 27-8 (상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크기 면적 2,198㎡

1995년 5월 12일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원래 있던 현풍향교의 건물들은 임진왜란 때 모두 불타버렸고, 전후(戰後)에 현풍현감 이영도(李詠道)가 구교동(舊校洞)에 중건하였던 것을 영조 때의 현감 김광태(金光泰)가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지은 것이다.

그후 1901년(광무 5) 현감 허길(許佶)에 의하여 중수되었고, 1931년에는 현풍군수 신현구(申鉉求)가 다시 대성전, 명륜당 및 동·서무를 중수하였다. 향교는 대지를 3단으로 조성하여, 대성전과 명륜당이 축을 이루고 동·서무, 동·서재 등이 조화를 이룬 전학후묘의 기본적인 배치법에 따르고 있다.

대성전은 사찰에서 사용된 양각된 연화문이 있는 배례석과 면석 등의 석재로 기단을 구성하고 윗면에는 전을 깔았다. 전면에는 연화문을 새긴 주초석을 사용하였고 후면은 덤벙주초와 탑신석을 주초로 사용하였다. 건물은 기둥 위에만 포를 설치한 주심포계로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이다. 건물의 건립년대는 중수상량문에 의하면 1750년대 건물로 추정된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맞배집으로, 그 앞에 〈김광태기적비〉가 서 있다.

참조항목

대성전, 향교, 현풍읍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