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 Go Chang-hwan's Historic House in Seongeup Village, Jeju , 濟州 城邑마을 高昌煥 古宅 ]

요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고택. 1979년 1월 26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 고택

지정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79년 1월 26일
소장 제주특별자치도
관리단체 제주특별자치도
소재지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서문로 4-7 (성읍리)
시대 조선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1979년 1월 26일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읍민속마을 안에 있으며, 19세기 말에 세운 한일자형 우진각지붕 초가이다. 안거리(안채)와 헛간채로 이루어져 있다.

안거리는 작은 구들이 있는 3칸집으로, 한라산 남쪽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이다. 부엌 공간이 비교적 작고, 작은 구들은 상방(대청) 쪽에 붙여 만들었는데 비교적 작다. 따라서 육지의 윗방과 같은 예비적 공간의 성격을 띠어 수장공간으로 많이 이용된다.

헛간채는 2칸이며 가장 보편적인 평면의 간살과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집으로 들어가는 올래(좁은 골목으로 집안으로 들어가는 진입로), 예비 공간으로 주어지는 우영(텃밭), 집 뒤의 공간과 여기에 심은 각종 나무들은 제주특별자치도 고택의 아름다움을 잘 나타낸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제주 성읍마을 고창환고택 제주 표선면 성읍민속마을에 있는 고택 국가민속문화재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에 있는 조선시대 고택으로 성읍민속마을 안에 위치한다. 예전 정의(성읍) 고을에서 여인숙으로 사용하였던 곳으로 19세기 말에 세운 한일자형 우진각지붕 초가이다. 안거리(안채)와 헛간채로 이루어져 있으며 안거리는 작은 구들이 있는 한라산 산남지역의 전형적인 3칸집으로 지어졌고, 헛간채는 1칸 집으로 멍석이나 살림도구를 두던 곳이다. 안채 옆에 오래된 뒷간이 있다. 고택으로 들어가는 진입로의 좁은 골목과 예비 공간으로 주어지는 우영(텃밭), 집 뒤의 여유 공간과 여러 종류의 나무들은 제주도 고택의 아름다움을 잘 나타내고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