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연의총

칠연의총

[ 七淵義塚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안성면 공정리에 있는 한말(韓末) 의병들의 무덤. 1976년 4월 2일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칠연의총

칠연의총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지정일 1976년 4월 2일
관리단체 무주군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안성면 칠연로 608 (공정리)
시대 대한제국기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순절지

1976년 4월 2일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한말(韓末) 일본군과 싸우다 순국한 의병들의 무덤으로, 칠연계곡 송정골에 있다. 1907년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이 체결되어 우리 나라 군대가 해산되자 시위대 출신 군인들이 전국 각지에 흩어져 의병대를 조직하였다.

무주 지방에서는 시위대 출신 신명선(申明善)이 덕유산을 거점으로 의병을 모집하여 무주·장수·순창·용담(龍潭)·거창 등지에서 활약하였는데, 1908년 4월 칠연계곡 송정골에서 휴식을 취하던 중 일본군의 기습으로 150여 명의 의병들이 전사하였다. 1969년 계곡 근처에 묻혀 있던 유해를 주민들이 수습하여 묘역을 만들고 칠연의총(七淵義塚)이라 이름하였다.

참조항목

무주군

역참조항목

안성면, 칠연계곡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칠연의총 칠연의총 항일의병으로 싸우다 순국한 열사의 묘소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대한제국 당시 일제의 강압에 의해 1907년 7월 24일 굴욕적인 정미 7조약이 체결되어 대한제국의 군대가 해산되자 시위보병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항일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시위대 출신의 장교 신명선이 무주의 덕유산을 근거지로 하여 150여 명의 의병을 규합하여 일본군과 싸우면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다 덕유산 칠연계곡에서 일본군의 기습을 받아 순국하였다. 무주의 주민들이 의병장 신명선과 의병들의 시신을 수습하여 묘소를 만들고 이를 "칠연총"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