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리 입석

무등리 입석

[ 無登里 立石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에 있는 선돌[立石]. 1973년 6월 23일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무등리 입석

무등리 입석

지정종목 시도민속문화유산
지정일 1973년 6월 23일
관리단체 입석마을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봉동읍 제내리 363-2번지
종류/분류 유물 / 기타종교조각 / 민간신앙조각 / 석조
크기 높이 2m, 너비1.5m, 두께 30㎝

1973년 6월 23일 전북특별자치도 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선돌은 고인돌함께 거석문화를 이룬다. 무등리 입석은 마을 입구의 논 가운데에 있는데, 당산나무와 함께 마을의 수호신으로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자식을 바라는 기자석(祈子石), 재액을 막는 방액석(防厄石) 등의 역할도 하였다.

자연 화강암을 직사각형으로 만들었으며, 작은 돌로 기초를 다졌다. 땅속에 60∼90㎝가 묻혀 있고, 그 위로 높이 2m, 너비 1.5m, 두께 30㎝이다. 한쪽 면을 깎아서 ‘불암나무아미타불관세음보살’이라고 글씨를 새겨 놓아 민속신앙과 불교의 성격이 함께 드러난다.

마을에 궂은 일이 있을 때 쌈줄을 치고 제사를 지냈다고 하며, 함부로 옮기거나 조금이라도 훼손을 입히면 벼락이 떨어져 죽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