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천사 오층석탑

강천사 오층석탑

[ 剛泉寺 五層石塔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1979년 12월 27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강천사 오층석탑

강천사 오층석탑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9년 12월 27일
관리단체 강천사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팔덕면 강천산길 270 (청계리)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2.35m, 너비 78㎝

1979년 12월 27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승려 덕현(德賢)이 1316년(충숙왕 3) 강천사를 중창할 때 화강암으로 만든 5층 6각의 다보탑으로, 강천사 대웅전 앞뜰에 있다.

임진왜란 당시 경내의 건물이 모두 불타고 본탑만 그대로 보존되다가 6·25전쟁 때 갑석(甲石)과 개석(蓋石) 일부가 총탄에 맞아 파손되었다. 1959년 주지 김장엽(金奬燁)이 절을 중수하면서 탑을 보수하였으나, 아직도 주변에 파손된 석등의 중대석과 보주(寶柱)가 남아 있고, 당간지주(幢竿支柱) 4기가 흩어져 있다. 현재는 석탑 주위에 철책을 세워 관리한다.

참조항목

석탑, 순창군, 팔덕면,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강천사 오층석탑 전북 순창군 강천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탑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고려시대 때 승려 덕현이 강천사를 중창하면서 세웠다고 전해지는 석탑이다.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5층 6각의 다보탑으로 지어졌다. 임진왜란 당시 경내의 건물이 모두 불타고 본탑만 그대로 보존되다가 6·25전쟁 때 갑석과 개석 일부가 총탄에 맞아 파손되기도 하였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