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구향교 대성전

금구향교 대성전

[ 金溝鄕校 大成殿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구면 금구리에 있는 고려시대 향교. 1984년 4월 1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금구향교 대성전

금구향교 대성전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4월 1일
관리단체 향교재단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금구면 금구리 152번지
시대 고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1984년 4월 1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금구향교는 1390년(고려 공양왕 2)에 건립되었고 대성전·명륜당·만서재(萬西齋)·만화루(萬化樓)·동재(東齋)·서재(西齋)로 이루어졌다. 창건 당시는 금구동헌에서 동쪽으로 2㎞ 떨어진 곳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소실되고 1675년(숙종 원년) 현 위치에 중건하였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중국의 4성인 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와 송조6현 주돈이·정명도(程明道)·정이천(程伊川)·소강절(邵康節)·장횡거(張橫渠)·주희(朱熹)를 배향하고 동·서벽에는 국내의 18현인 설총(薛聰)·안향(安珦)·김굉필(金宏弼)·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송준길(宋浚吉)·최치원(崔致遠)·정몽주(鄭夢周)·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김인후(金麟厚)·성혼(成渾)·조헌(趙憲)·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를 배향하였다.

전형적인 전학후묘(前學後廟)식 건물배치로, 앞쪽에 강학기관인 명륜당이 있고 뒤쪽에 향사기관인 대성전이 있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이고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이다. 1974년 보수하고 1976년 단청을 새로 입혔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