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황사 대웅전

천황사 대웅전

[ 天皇寺 大雄殿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정천면 갈용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찰 건축물. 1973년 6월 23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천황사 대웅전

천황사 대웅전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3년 6월 23일
관리단체 천황사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정천면 수암길 54 (갈용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크기 정면 3칸, 측면 2칸

1973년 6월 23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천황사(天皇寺)는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정천면 갈룡리 구봉산(九峰山) 자락에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金山寺)의 말사이다. 875년(헌강왕1) 무염선사(無染禪師)가 세우고 1064년(문종18)에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중창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학조(學照)·애운(愛雲)·지견(智堅)·혜명대사(慧明大師) 등이 중창하였다.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맞배지붕이며 앞뒷면에만 다포식(多包式) 공포(拱包)를 댔다. 내부에는 삼불상이 모셔져 있으며 불상 위에는 닫집[唐家]을 달았다. 조선시대 후기의 건물로 추정된다.

참조항목

정천면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