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피향교 대성전

임피향교 대성전

[ 臨陂鄕校 大成殿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임피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향교의 대성전. 1984년 4월 1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임피향교 대성전

임피향교 대성전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4년 4월 1일
관리단체 향교재단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임피면 임피향교길 46 (읍내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1984년 4월 1일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1403년(태종 3) 현재의 임피면 흑산리에 창건되었으며, 1630년(인조 8) 미원리로 이전하였다가, 1710년(숙종 36)에 현 위치로 옮겨온 것이다.

1974년에 대성전을 보수하고 1975년에 명륜당, 다음해 부속건물을 보수하였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부속건물에 동재 및 서재·흥학당(興學堂)·내삼문·외삼문·창고·변소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 송(宋)의 주자(周子)·정명도(程明道)·정이천(程伊川)·주희(朱熹:주자)를 배향하고 있다. 동·서벽에는 한국의 18현, 즉 동벽에는 설총(薛聰)·안향(安珦)·김굉필(金宏弼)·조광조(趙光祖)·이황(李滉)· 이이(李珥)·김장생(金長生)·김집(金集), 송준길(宋浚吉)을, 서쪽 벽에는 최치원(崔致遠)·정몽주(鄭夢周)·정여창(鄭汝昌)·이언적(李彦迪)·김인후(金麟厚)·
성혼(成渾)·조헌(趙憲)·송시열(宋時烈)·박세채(朴世采)를 각각 배향하고 있다.

현유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으나, 1894년 갑오개혁 이후 교육적 기능은 없어졌다. 다만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삭월과 망일에 분향한다.

참조항목

임피면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