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신매리 석실고분

춘천 신매리 석실고분

[ 春川 新梅里 石室古墳 ]

요약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신매리에 있는 고구려시대의 석실고분. 1982년 11월 3일 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춘천 신매리 석실고분

춘천 신매리 석실고분

지정종목 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
지정일 1982년 11월 3일
관리단체 춘천시
소재지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서면 신매리 177-14번지
시대 고구려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고분군
크기 면적 132㎡

1982년 11월 3일 강원특별자치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약 132㎡이다. 1982년 신매리지구의 농지정리작업 도중 발견되었는 데 도굴된 흔적은 없으나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고 두 사람분의 인골만 남아 있었다.

무덤의 평면배치는 ㄱ자 모양이며, 전면 우측인 동쪽에 통로인 널길이 있는 한 칸 방으로 된 고구려계통의 외방무덤[單室墓]이다. 시신이 안치된 주실은 비교적 큰 자연석과 강돌을 사용하여 벽을 3∼4단 쌓아올려 만들었고, 천장은 큰 판석 여러 매를 어긋나게 포개놓은 후 마지막으로 타원형 판석 한 매를 한가운데 올려놓아 완성한 모줄임천장을 갖추고 있다. 무덤양식으로 보아 6세기 전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돌방 내부 바닥은 한쪽에 작은 돌을 깔고 석회를 발라서 시신을 놓는 시상(屍床)을 마련하였다. 돌방은 직사각형으로 길이는 북벽 140cm, 서벽 188cm, 남벽 80cm이며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는 142cm이다. 통로의 두 벽은 2단으로 쌓았고 길이 200cm, 너비 80cm, 높이는 90cm이며, 입구에 하나의 판석을 세워 막아 놓았다. 춘천시 서면 방동리 고구려 고분(강원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과 동일한 천장양식과 평면구조를 가지고 있다.

고구려고분은 외형상의 특징에 의해 돌무지무덤돌방무덤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대략 BC 3∼2세기경부터 만들어졌다고 추정되며, 후자는 AD 4세기경에 출현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고분은 돌방무덤에 해당한다.

돌방무덤은 고구려 후기의 대표적 무덤양식으로 가장 큰 특징은 지상이나 반지하에 널길이 딸린 석실을 만들고 그 위에 돌이 아닌 흙을 덮었다는 점이다. 돌방무덤은 규모의 대소, 널방의 숫자, 널방의 축조재료, 널방천장의 조성방식, 벽화의 유무 등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구분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