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의앉은굿

대전의앉은굿

[ 大田의앉은굿 ]

요약 대전광역시와 충청도 일대에서 행해지는 가정의 평안을 기원하는 굿. 1994년 5월 26일 대전광역시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대전광역시 무형유산
지정일 1994년 05월 26일
소재지 대전광역시 중구 문창1동 54-1
기예능보유자 신석봉
종류/분류 무속의식

1994년 5월 26일 대전광역시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고, 현재 기능 보유자는 신석봉(申石奉)이다.

가정의 평안과 기복을 비는 의식으로 대전을 중심으로 충청지역에서 주로 행해지는 앉은굿은 심방(心房: 무당)이 서서 춤을 추면서 진행하는 다른 지역의 굿과는 달리 법사(法師)가 앉아서 독경(讀經)으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앉은굿이라는 호칭은 이 지역 제의의 독특한 형식을 표현한 것으로 굿의 성격에 따라 여러 갈래로 나뉜다. 이러한 독경무(讀經巫: 앉은굿)의 전통은 고유의 민간신앙이 불교나 도교 등 외래종교와 상호관계를 맺으며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앉은굿은 크게 안택굿과 병굿, 조상 길닦음, 신굿 등으로 나뉜다. 특히 안택굿은 1960년대까지는 많은 가정에서 성행하였는데 음력으로 정월에는 초하루에서 보름 사이에 날을 잡고 시월 상달에는 아무날이나 길일(吉日)을 택하여 행하였다. 내용이 주로 가정의 안과태평(安過泰平)과 재수를 여러 신에게 기원하는 것이다.

안택굿을 달리 도신떡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조상과 사중팔신(舍中八神: 집을 돌보는 여덟신)에게 떡을 해놓고 집안이 잘되기를 바라는 의식에 기인한다. 굿은 조상신·조왕신·산신·제석신·성주신·지주신 등을 차례로 모시는 것으로 시작하여 신장과 대감은 굿을 하는 중에 청하여 모시고, 두루 기원한 후 차례로 돌려보내는 것으로 끝난다. 특히 대감은 전통적인 앉은굿에는 나타나지 않고 선거리굿과 혼용되었을 때에만 나타난다.

앉은굿 기능보유자인 신석봉(申石奉)은 대전 중구 문창동에서 출생하여 16세에 해원사 유성환에게 불경(佛經)을 배웠다. 그후 홍신철, 김수복, 한씨보살 등 당시 대전의 여러 유명한 무당들로부터 무경(巫經)과 고장(鼓杖)을 전수받아 앉은굿을 계승하였고 앉은굿에서 가장 정형화된 대전의 안택굿은 물론 지금은 거의 소멸된 미친굿의 기능도 보유하고 있다.

역참조항목

내포 앉은굿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