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농악

광명농악

[ 光明農樂 ]

요약 경기도 광명시에 전승되는 경기농악. 1997년 9월 30일 경기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광명농악

광명농악

지정종목 시도무형유산
지정일 1997년 9월 30일
관리단체 광명시
소재지 경기도 광명시 철망산로 42 (하안동, 광명문화원) 1층 광명농악보존회
기예능보유자 시민농악단
종류/분류 무형유산 / 전통 공연·예술 / 음악

1997년 9월 30일 경기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광명시 철산3동 시민농악단이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경기농악은 경기도를 비롯하여 충청도와 강원도 일부 지방에 전승되는 농악으로 멀리 황해도까지 영향을 주었다.

광명의 소하리 풍물놀이는 경기농악의 중심적인 가락과 짜임새가 모두 담겨 있으며 특히 무등놀이가 유명하다. 기본적으로 흰 옷차림에 삼색띠를 두르거나 마을에 따라 청색 조끼를 입기도 한다. 쇠가락은 길군악칠채, 덩덕궁이장단, 짠지패가락, 두마치(자진마치), 쩍쩍이, 굿거리 등이 쓰이는데, 특히 길군악칠채는 경기농악에만 쓰이는 가락이다.

판굿의 짜임새가 다양하고 피조리, 새미의 깨끼춤과 동리삼동, 곡마당 등 다양한 무등타기가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의 세시명절과 관련된 민속놀이로서 의의가 있다.

역참조항목

철산동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