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평대군 치제문비

인평대군 치제문비

[ Stele of Grand Prince Inpyeong , 麟平大君 致祭文碑 ]

요약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인평대군(1622∼1658) 묘역에 있는 석비. 1978년 10월 10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인평대군 치제문비각

인평대군 치제문비각

지정종목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8년 10월 10일
소재지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산46-1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1978년 10월 10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인평대군은 조선시대 인조의 셋째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으로 이름은 요, 자는 용함(用涵), 호는 송계(松溪), 시호는 충경(忠敬)이다. 인평대군이 36세의 나이로 죽자 병자호란 뒤 국난 극복에 헌신하고 서화와 학문에 출중했던 육친을 잃은 슬픔을 달래고자 효종이 친제(親祭)한 제문(祭文)이다.

2개의 비로 제1비는 앞 면에 효종의 어제어필(御製御筆)로 초서체(草書體)로 명각(銘刻)되었고 뒤에는 숙종의 어제어필로 해서체(楷書體)로 명각되어 있다. 제2비의 앞면 위에는 영조, 아래에는 정조의 어제어필로 명각되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인평대군 치제문비 인평대군 치제문비 인평대군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비석 경기도 유형문화재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에 소재하는 조선시대 비석으로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인 인평대군의 치적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비석이다. 1640년 인평대군은 병자호란 때 볼모로 청나라로 갔으며 이후 효종 때는 사은사로 여러 차례 청나라를 다녀왔다. 1658년 사망하자 형인 효종이 그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기념비를 세웠다. 인평대군 치제문비는 2개의 비석으로 비각 내 보존되고 있다. 제1비는 효종의 글씨로 초서체로 명각되어 있고 뒷면에는 숙종의 글이 해서체로 명각되어 있다. 제2비석에는 영조와 정조의 친필로 새겨져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