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당

지수당

[ Jisudang Pavilion , 地水堂 ]

요약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물. 1983년 9월 19일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지수당

지수당

지정종목 경기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1983년 9월 19일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산성리 124-1번지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누정

1983년 9월 19일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남한산성 관리사무소에서 동쪽으로 200m 지점에 있는 건물로 조선시대인 1672년(현종 13)에 부윤(府尹) 이세화(李世華)가 세웠다.

건립 당시에는 건물의 앞 뒤로 3개의 연못이 있었으나 지수당이 있던 연못은 매몰되고 2개의 연못이 남아 있다. 당시 고관들이 낚시를 즐기던 지수당 옆의 연못은 특이한 형태인데, 연못 가운데 관어정이라는 정자가 있었으나 지금은 그 빈터만 남아 있다.

건물 동쪽에는 부윤 이세화의 공덕비가 세워져 있는데 앞면에는 ‘부윤 이세화의 청덕민 선정비’라는 글이, 뒷면에는 ‘숭정 후 87년 갑오년 3월일립(崇禎後 八十七年 甲午年 三月日立)’이라고 새겨져 있다.

이세화의 호는 쌍백당(雙栢堂)이며 일찍이 문과에 급제하여 문관으로 이름을 떨쳤으나 1689년(숙종 15)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는 소를 올렸다가 숙종의 진노를 사 정주로 유배되었다. 그뒤 크게 뉘우친 숙종이 대사헌, 호조판서로 발탁했으나 사양하였다. 후에 세자빈객, 공조·형조·병조·예조 판서 등을 지내고 풍계의 충렬사(忠烈祠)에 향사되었으며 고향에 충신정문(忠臣旌門)이 세워졌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지수당 조선시대 누정 경기도 문화재자료 조선시대인 1672년(현종 13) 경기도 광주부의 지방관인 광주부윤으로 부임한 이세화가 연못을 조성하고 그 가운데 누정을 건립하고 지수당(地水堂)이라고 이름 지었다. 건물 동쪽에는 부윤 이세화의 공덕비가 세워져 있는데 앞면에는 ‘부윤 이세화의 청덕민 선정비’라는 글이, 뒷면에는 ‘崇禎後 八十七年 甲午年 三月日立’이라고 새겨져 있다. 지수당은 팔작지붕에 정면 3칸 측면 3칸의 규모의 장방형 형태이다. 당시 관리들이 이곳에서 낚시를 즐겼는데 지수당 주변에 3개의 연못이 있었으나 홍수로 1개가 매몰되고 2개만 남아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