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유수부 이방청

강화 유수부 이방청

[ 江華 留守府 吏房廳 ]

요약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조선 중기의 건축물. 1995년 3월 2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강화 유수부 이방청

강화 유수부 이방청

지정종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95년 3월 2일
소장 국가유산청
관리단체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북문길 42 (강화읍) 강화유수부 이방청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크기 건평 220㎡

1995년 3월 2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방청은 강화 유수부 내 육방(六房:예·병·공·이·호·형방) 중의 하나로서 1654년(효종 5) 유수(留守) 정세규(鄭世imagefont:1583∼1661)가 건립하여 관아로 사용한 건물인데, 1783년(정조 7) 유수 김노진(金魯鎭:1735∼1788)이 내부를 개수하여 계홀당(桂笏堂)이라는 당호(堂號)를 게시하였다.

건물구조는 한식 목조 ㄷ자형 단층기와집으로 팔작지붕에 민도리 홑처마집이다. 모두 12칸으로 온돌방이 8칸이고 우물마루로 된 청마루가 12칸이며 부엌이 1칸이다. 1915년부터 현재까지 등기소로 사용하고 있다. 수차에 걸친 개수로 옛날 관아의 원형은 찾아볼 수 없다.

법전·군무를 제외한 모든 크고 작은 사무를 맡아보았던 곳으로, 조선시대 지방관아의 이방청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