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유수부 동헌

강화 유수부 동헌

[ 江華 留守府 東軒 ]

요약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 1995년 3월 2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강화 유수부 동헌

강화 유수부 동헌

지정종목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95년 3월 2일
소장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관리단체 인천광역시 강화군청
소재지 인천광역시 강화군 북문길 42 (강화읍) 강화유수부 동헌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1995년 3월 2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강화 유수부는 1627년(인조 5)에 인조가 강화로 피신했다가 돌아온 뒤 설치한 것으로 종2품 관청으로 삼았다. 1638년(인조 16)에 유수(留守) 김신국(金藎國)이 개수하였고, 1769년(영조 45)에 유수 황경원(黃景源)이 현윤관(顯允觀)이라 명명하였다.

현재는 명위헌(明威軒)과 이관당(以寬堂)의 현판이 걸려 있는데, 당호(堂號)는 송나라 미남궁체(米南宮體)를 잘 쓰는 당시의 명필이며 학자였던 윤순(尹淳:1680∼1741)의 필적이다. 건물규모는 정면 8칸, 측면 3칸, 건평 24칸이고 구조는 익공계(翼工系)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1977년 강화 중요 국방유적(國防遺蹟) 복원정화 사업의 일환으로 개수되어 현재에 이른 것인데, 오늘날의 군청과 같은 관아건물로서 여러 차례에 걸친 개조로 원형은 남아 있지 않다.

역참조항목

관청리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