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의 생식기관

남성의 생식기관

남성의 생식기관

남성의 생식기관

남성의 생식기관 본문 이미지 1
쿠퍼선음낭부고환고환요도귀두해면체음경수정관치골직장저정낭사정관전립선방광

외성기

외성기는 음경(陰莖)과 음낭(陰囊)으로 되어 있고 외음부라고 총칭한다. 음경은 좌우 1쌍의 음경해면체와 요도를 싸는 요도해면체 및 외피로 되어 있다. 요도는 요로인 동시에 정로(精路)이다. 방광에 가까운 후부요도(전립선부)의 정구(精丘)에는 정낭선으로부터 액을 사출하는 관이 좌우 1쌍 개구하고 있다. 정구의 양쪽에 전립선액을 배출하는 전립선 소관(小管)이 약 20개 이상 존재한다.

또, 요도에는 다수의 점액선이 있고 특히 큰 구요도선(球尿道腺:쿠퍼선)이 전요도의 뒤 끝에 좌우 1개씩 개구하고 있다. 이 선(腺)으로부터의 분비물은 점도가 강한 무색 투명한 것으로서, 발기할 때 외요도구에 나타난다. 음낭은 고환·부고환 및 정관의 일부를 싸는 주머니로서 그 피부에는 주름이 많다. 고환 등은 복강 내에서 발생하고 태아의 말기에 음낭 내에 하강하므로 복막을 비롯하여 근섬유·탄력섬유·결합조직 등의 여러 겹의 막으로 싸여 있다.

내성기

내성기는 고환·부고환·정관·정낭선·전립선 등이다. 고환은 음낭 속에 좌우 1쌍 있고, 다소 편평한 장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부고환은 고환의 상부에서 시작하여 고환에 부착되어 하행하고 고환 하부에서 정관에 이행한다. 고환은 강인한 흰 막으로 싸여 있고, 우곡(迂曲)하는 정세관(精細管)으로 이루어진 고환소체로 나누어져 있다. 정자가 생산되는 곳은 그 굽은 정세관이며, 그 내면에 있는 정상피(精上皮)에는 정세포와 지지세포의 두 종류가 있다.

지지세포는 세르톨리세포라고도 하며 정세포를 지지하고, 또 여성 호르몬도 분비한다. 관벽에 접하여 존재하는 정세포를 정원세포(精原細胞)라고 하며, 이것이 분열하여 정모세포(精母細胞)가 되고, 다시 전정자세포(前精子細胞:精娘細胞)가 된다. 이것이 또 한번 분열하여 정자세포가 되는데, 이 최후의 분열에서는 염색체가 정랑세포의 반으로 감소한다. 이 정자세포는 집속된 상태로 지지세포에 부착하여 복잡한 변화를 거쳐서 정자가 되고, 정자는 부고환을 통하여 정관으로 보내진다.

또한, 고환에는 정세관과 정세관 사이에 결합조직이 있고, 그 속에 간세포(라이디히세포)가 작은 무리를 이루어 산재하며, 이것이 남성 호르몬(안드로젠)을 분비한다. 정관은 음낭 속을 상행하여 서혜관(鼠蹊管)을 지나서 소골반에 들어가 방광(膀胱)의 바깥쪽을 돌아 방광저의 뒷면에 도달한다. 말단부는 주머니 모양으로 팽대하여 정낭선의 배출관과 함께 사정관이 되고, 전립선을 지나 정구(精丘)에 좌우 1쌍의 구멍으로서 요도에 개구한다. 정낭선은 방광의 뒤쪽 하부에 접착하여 전립선의 위쪽, 정관 팽대부의 바깥 아래쪽에 있다.

일종의 주머니 모양의 장기로서, 단백질이 풍부하고 응고성이 있는 대황색(帶黃色)의 점액 모양의 내용물 속에 다수의 정자를 내장한다. 전립선은 밤알을 거꾸로 한 것 같은 모양이고 크기도 밤알만하며 중앙에 홈이 있어 좌우·중앙의 세 잎으로 나뉘어 있으며, 방광의 경부를 둘러싸고 요도가 그 속을 통한다. 포상관선(胞狀管腺)이 모인 것으로서 그 배설관은 서로 결합하여 전립선관에 이행하며, 정구의 양쪽에 20∼30개의 관구가 열린다. 이곳으로부터의 분비물은 유백색이고, 그 특수한 냄새가 바로 정액의 냄새이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