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쌍릉

익산 쌍릉

[ Twin Tombs, Iksan , 益山 雙陵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백제시대 무덤.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익산 쌍릉

익산 쌍릉

지정종목 사적
지정일 1963년 1월 21일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석왕동 6-13 등
시대 백제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왕실무덤 / 고대
크기 높이 3.1m, 양 무덤 너비 0.5km

1963년 1월 21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백제 말기의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다. 남북으로 2기의 무덤이 나란히 있어 쌍릉이라 부르며, 북쪽의 것은 대왕묘, 남쪽의 것은 소왕묘라고 한다.

마한(馬韓)의 무강왕(武康王)과 그 왕비의 능이라고도 하며, 백제 무왕(武王)과 선화비(善花妃)의 능이라고 전하기도 한다.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도굴된 기사가 있고, 1917년에 학술적인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발굴 결과 그 구조는 원분(圓墳)으로 부여 능산리(陵山里)에 있는 백제 왕릉과 동일 형식에 속하는 판석제 굴식돌방으로 밝혀졌다. 이미 도굴되어 부장품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으나, 당시의 돌방 안에서 비교적 완전한 나무널〔木棺〕이 출토되어 국립박물관에 보존되어 있었는데, 6·25전쟁 중 파손되었다. 지금은 복원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발굴 당시 높이는 3.1m, 양 무덤의 너비는 약 0.5km였다. 현재는 보수되어 대왕묘의 지름은 30m, 높이는 5m, 소왕묘의 지름은 24m, 높이은 3.5m이다. 대왕묘의 돌방 바닥은 봉분 꼭대기에서 7.2m 아래에 있는데, 널방〔玄室〕 규모는 길이 3.80m, 너비 1.78m, 높이 2.27m이다. 남면 중앙에 널길〔羨道〕이 설치되었는데 널문〔羨門〕과 널길 입구는 판석을 세워 막았고 4면벽과 바닥·천장을 모두 돌널[板石]로 조립하였다. 바닥 중앙에는 널받침〔棺臺〕이 놓였다. 소왕묘의 돌방 바닥은 봉분 윗면에서 5.5m 아래에 있는데 돌방의 형식과 석재 등은 대왕묘와 같다. 널방은 길이 3.2m, 너비 1.3m, 높이 1.7m로 규모가 약간 작다.

역참조항목

석왕동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익산 쌍릉 익산 쌍릉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백제시대 무덤  사적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석왕동에 있는 백제시대 무덤으로 남북으로 2기의 무덤이 나란히 위치하고 있어 쌍릉이라 불리운다. 북쪽의 큰 무덤은 대왕묘, 남쪽의 작은 무덤은 소왕묘라고 한다. 쌍릉은 2기 모두 원형의 봉토무덤으로 1916년 발굴 당시 이미 도굴이 된 상태였으나 대왕묘 내부에서 나무관이 출토되어 복원되었다. 현재 보수된 대왕묘 지름은 30m, 소왕묘 지름 은 24m이다. 무덤 안 구조는 백제 후기 횡혈식석실묘 형태로 부여 능산리에 있는 백제 왕릉과 같은 형식의 무덤이다. 근처에 미륵사지가 있어 백제 무왕과 선화공주의 무덤으로 추정되지만 근 거는 없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