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군의 사회문화

고흥군의 사회문화

고흥군립북부도서관

고흥군립북부도서관

교육기관

전통 교육기관은 1441년(조선 세종 23) 고흥현 서문 밖에 창건된 고흥향교가 고흥 지역의 공공 교육기관 역할을 하였으며,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1695년(숙종 21) 지금의 고흥읍 행정리에 새어 지어져 오늘에 이른다. 이밖에 지금의 고흥읍에 설립된 죽계재(竹溪齋)·금호재(琴湖齋)를 비롯하여 점암면의 구천재(龜泉齋), 포두면의 성윤재(盛倫齋), 대서면의 화수재(花樹齋), 동강면의 화수헌(花樹軒), 과역면의 정옥재(政玉齋), 두원면의 학림서당(鶴林書堂), 도화면의 가화서재(加禾書齋) 등의 서당들이 사학(私學)의 역할을 하였다.

근대 교육기관은 1911년 흥양공립보통학교가 고흥향교 자리에서 고흥 지역의 첫 근대 학교로 개교한 뒤 1914년 고흥공립보통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1921년 호형리로 이전하였으며, 이후 고흥동공립심상소학교·고흥동공립국민학교·고흥동국민학교 등의 변천을 거쳐 지금의 고흥동초등학교로 이어진다. 이밖에 1920년 과역공립보통학교(지금의 과역면 과역초등학교), 1922년 포두공립보통학교(지금의 포두면 포두초등학교), 1923년 동강공립보통학교(지금의 동강면 동강초등학교), 1924년 봉래공립보통학교(지금의 봉래면 봉래초등학교), 1925년 금산공립보통학교(지금의 금산면 금산초등학교), 1926년 도화공립보통학교(지금의 도화면 도화초등학교), 1928년 고읍공립보통학교(지금의 풍양면 풍양초등학교), 1929년 남양공립보통학교(지금의 남양면 남양초등학교), 1930년 점암공립보통학교(지금의 점암면 점암초등학교)와 소록도공립심상소학교(지금의 도양읍 녹동초등학교 소록도분교장), 1931년 대서공립보통학교(지금의 대서면 대서초등학교), 1936년 백양공립심상소학교(지금의 동일면 백양초등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중등교육기관은 1946년 지금의 고흥읍 등암리에서 고흥공립초급중학교가 고흥 지역의 첫 중등학교로 개교하여 1950년 고흥농업중학교로 개편되었다. 고흥농업중학교는 1951년 고흥농업고등학교와 고흥중학교로 개편된 뒤 1980년 고흥중학교가 남계리의 현 위치로 분리 이전되었으며, 고흥농업고등학교는 고흥실업고등학교를 거쳐 2010년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여 지금에 이른다. 이밖에 1952년 영주중학교(지금의 과역면 고흥과역중학교), 1953년 봉래면 봉래중학교, 1955년 흥양중학교(지금의 도화면 고흥도화중학교), 1965년 금산면 금산중학교, 1966년 고흥읍 고흥여자중학교와 포두면 포두중학교, 1968년 영주종합고등학교(지금의 과역면 고흥영주고등학교)와 동강면 동강중학교, 1970년 도양읍 녹동중학교, 1971년 대서면 고흥대서중학교와 점암면 고흥점암중앙중학교, 풍양면 고흥풍양중학교 등이 개교하였다. 2021년을 기준하여 교육기관은 고등학교 5개교, 중학교 15개교, 초등학교 20개교(분교 3개교) 등이 있으며, 학생 수는 3996명으로 22개 시·군 가운데 15번째에 해당한다.

공공시설

공공 도서관은 고흥읍의 중앙도서관을 비롯하여 도양읍의 남부도서관과 동강면의 북부도서관 등 군립 도서관 3개소, 봉래면의 나로한빛작은도서관을 비롯한 공립 작은도서관 4개소 등이 조성되어 있다. 2020년을 기준하여 의료기관은 종합병원 1개소(고흥종합병원)와 병원 2개소, 한방병원 14개소, 요양병원 1개소, 보건소 1개소 등이 있다. 언론 매체로는 주간 신문사 2개소가 있다.

공공 체육시설은 고흥읍에 축구장·육상트랙 등을 갖춘 박지성공설운동장을 비롯하여 고흥팔영체육관·고흥국민체육센터·고흥생활체육공원·고흥군전용탁구장·고흥전천후게이트볼장·사계절잔디구장 등이 조성되어 있다. 이밖에 도양읍에 도양읍농어촌복합체육관·김태영축구장, 금산면에 이곳 출신의 프로레슬러 김일을 기념하여 건립한 김일기념체육관과 고흥거금야구장, 동강면에 동강한마음체육관 등이 조성되어 있다.

문화·전시·공연 시설은 고흥읍에 고흥문화회관과 고흥문화원, 두원면에 고흥분청문화박물관과 고흥갑재민속전시관 등이 있으며, 분청문화박물관 부지 내에 고흥 출신의 시조시인 조종현과 그의 아들인 소설가 조정래, 조정래의 아내인 시인 김초혜 3인의 문학세계를 조명하는 '조종현·조정래·김초혜 가족문학관'이 함께 조성되어 있다. 이밖에 도화면에 충무공 이순신이 수군 만호로 재임하였던 발포진성(발포만호성)과 연계하여 설립한 발포역사전시체험관, 영남면에 남포미술관, 도화면에 도화헌미술관, 금산면 연홍도에 연홍미술관 등이 있다. 예술단으로는 군립 국악단·판소리단·사물놀이단이 있다.

문화행사 및 축제

2001년 녹동바다불꽃축제가 시작되어 매년 5월경 녹동항 일원에서 불꽃쇼를 비롯하여 녹동바다정원 드론쇼와 청소년 K팝 페스티벌, 녹동바다불꽃가요제와 바다 버스킹, 예술단 공연, 맨손물고기잡기·낚시 체험과 먹거리 장터 등이 풍성하게 펼쳐진다. 2004년에는 고흥우주항공축제가 출범하여 나로우주센터 일원에서 나로우주센터 발사현장 견학을 비롯하여 과학·드론 체험과 청소년 K팝 경연대회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이밖에 지역 특산물인 유자와 석류를 수확하는 11월에 풍양면한동리에서 고흥유자석류축제가 열린다.

문화재

국가 지정 문화재는 유몽인 위성공신교서·고흥 능가사 대웅전·금탑사 괘불탱을 비롯한 보물 6점, 사적 1개소(고흥 운대리 분청사기 요지)와 명승 1개소(고흥 지죽도 금강죽봉), 천연기념물 2점(고흥 금탑사 비자나무 숲·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 등이 있다. 이밖에 '고흥 구 소록도갱생원 검시실' 등 일제강점기에 한센병 환자들에 대한 인권 유린의 현장이었던 소록도갱생원 관련 시설을 비롯한 18점이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도 지정 문화재는 고흥 존심당 및 아문·고흥 능가사 사적비·금탑사 극락전·고흥향교를 비롯한 전남유형문화재 13점, 고흥 월포농악·고흥 한적들노래를 비롯한 전남무형문화재 4점, 고흥 발포진성·고흥 발포리 백로 및 왜가리 도래지·흥양현 읍성·고흥 중산리 지석묘군을 비롯한 전남기념물 21점, 덕양서원·대성사·고흥 서동사·수도암 무루전을 비롯한 전남문화재자료 13점 등이 있다. 이밖에 조선시대 국영 말 목장으로 운영된 흥양목장(興陽牧場)을 감독하였던 감목관(監牧官)의 선정을 기리는 '흥양목장 감목관 철비(鐵碑)'를 비롯한 10점이 향토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