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 교통

부산광역시의 교통

부산 범어사 조계문

부산 범어사 조계문

도로 교통

고속도로는 1970년 금정구 구서동에서 경남·울산·경북·대구·충북·대전·충남·경기도를 거쳐 서울시 서초구 양재동에 이르는 경부고속도로(고속국도 1호선)의 전 구간이 개통되어 전국이 1일생활권으로 연결되었다. 또한 남해고속도로(고속국도 10호선)가 북구 덕천동에서 전남 영암군 학산면까지 이어져 남해안의 영·호남 지역을 동서로 연결하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고속국도 104호선)이 경남 김해시를 기점으로 사상구 감천동까지 이어진다. 이밖에 사상구 삼락동을 기점으로 하는 중앙고속도로(고속국도 55호선)가 국토의 중앙부를 남북으로 가로질러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까지 이어지고, 동해고속도로(고속국도 65호선)의 부산~포항 구간이 해운대구 좌동을 기점으로 포항시 남구 오천읍까지 이어지며, 김해시를 기점으로 하는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고속국도 600호선)가 양산시를 거쳐 기장군 일광읍까지 이어진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가 기장 분기점에서 동해고속도로와, 노포 분기점에서 경부고속도로와 접속하고, 남해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가 대저 분기점에서 접속한다.

일반국도는 전남 신안군 장산면을 기점으로 하여 중구 동광동1가까지 이어지는 2호선을 비롯하여 7호선(중구 중앙동~강원 고성군)·14호선(경남 거제시~부산 기장군~경북 포항시)·31호선(기장군 일광읍~강원 양구군)·35호선(북구 덕천동~강원 강릉시)·77호선(중구 동광동1가~경기도 파주시) 등이 있다. 국가지원지방도(국지도)는 전남 나주시에서 강서구 구랑동까지 이어지는 58호선을 비롯하여 60호선(전남 무안군~기장군 장안읍)·69호선(강서구 녹산동~경북 울진군) 등이 있다. 국도 7호선이 노포 나들목에서 경부고속도로와, 국도 14호선이 대저 분기점에서 중앙고속도로와, 국도 14호선·31호선이 기장 나들목에서 동해고속도로와, 국지도 58호선·69호선이 가락 나들목에서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과 각각 접속한다.

또한 금정구 구서동에서 동구 좌천동까지 이어지는 번영로와 동서고가로(사상구 감전동~남구 감만동)·관문대로(동구~사상구)·장산로(해운대구 우동~좌동)·정관산업로(금정구 회동동~기장군 정관읍) 등의 도시고속도로, 기장군 기장읍에서 장안읍까지 이어지는 기장대로와 낙동대로(서구 서대신동~북구 구포동)·가야대로(사상구 감전동~부산진구 부전동)·중앙대로(중구 중앙동7가~양산시 동면리)·을숙도대로(강서구 명지동~사하구 감천동)·강변대로(사하구 신평동~북구 금곡동)와 공항로·낙동북로·동부산관광로·장산로를 비롯한 간선도로망이 부산시의 내·외곽을 연결한다.

이밖에 수영만을 가로질러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연결하는 광안대교, 낙동강을 가로질러 김해시와 북구를 잇는 낙동강대교, 강서구의 송정동과 가덕도를 연결하는 가덕대교, 가덕도와 경남 거제도를 연결하는 거가대교와 가덕해저터널, 서구와 영도(영도구)를 잇는 남항대교, 영도와 남구를 잇는 부산항대교 등이 건설되어 있다. 금정구 노포동에 전국 각 방면의 고속·시외버스를 운행하는 부산종합버스터미널, 사상구 괘법동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해운대구 우동에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동래구 온천동에 동래시외버스정류소 등이 있다.

철도 교통

1905년 서울~부산을 잇는 경부선이 개통되었고, 1908년 경부선과 경의선이 연결되어 부산에서 신의주까지 운행되었다. 오늘날 경부선은 서울역을 기점으로 부산시의 구포역~사상역~부산진역을 거쳐 종점인 부산역에 이르며, 가야선(사상역~범일역)이 부산 지역의 지선으로 운행된다. 1918년에 개통된 동해남부선은 동해선으로 개칭되어 부산진역~월내역 간의 부산시 19개 역을 거쳐 경북 영덕군의 영덕역까지 운행되며, 우암선(부산진역~신선대역)과 부전선(가야역~부전역)이 부산 지역의 지선으로 운행된다. 2004년에는 서울시 금천구의 시흥연결선 종점을 기점으로 하는 경부고속선이 개통되어 부산역까지 운행된다.

도시철도는 1985년 1호선이 개통하여 다대포해수욕장역~노포역 간의 8개 구(사하구·서구·중구·동구·부산진구·연제구·동래구·금정구) 40개 역을 운행하고, 1999년에 개통한 2호선이 장산역~금곡역 간의 6개 구(해운대구·수영구·남구·부산진구·사상구·북구) 38개 역을 거쳐 양산시의 호포역~양산역까지 운행한다. 또한 2005년에 개통한 3호선이 수영역~대저역 간의 5개 구(수영구·연제구·동래구·북구·강서구) 17개 역을 운행하고, 2011년에 개통한 4호선이 미남역~안평역 간의 4개 구·군(동래구·금정구·해운대구·기장군) 14개 역을 운행한다. 이밖에 2011년에 부산시와 경남 김해시를 연결하는 부산김해경전철이 개통하여 부산시의 사상역에서 김해시의 가야대역 간의 21개 역을 운행하고, 2016년에는 부산~울산을 연결하는 동해선광역전철이 개통하여 부산시의 부전역에서 울산시 남구 삼산동의 태화강역 간의 23개 역을 운행한다.

부산역에서 1호선·경부선·경부고속선이 접속하고, 서면역에서 1호선과 2호선이, 부전역에서 1호선·동해선광역전철·동해선·부전선이, 연산역에서 1호선과 3호선이, 교대역에서 1호선과 동해선광역전철이, 동래역에서 1호선과 4호선이, 벡스코역에서 2호선과 동해선광역전철이, 수영역에서 2호선과 3호선이, 사상역에서 2호선·부산김해경전철·경부선이, 덕천역에서 2호선과 3호선이, 화명역에서 2호선과 경부선이, 거제역에서 3호선과 동해선광역전철이, 미남역에서 3호선과 4호선이, 구포역에서 3호선과 경부선이, 대저역에서 3호선과 부산김해경전철이 각각 접속한다.

2018년을 기준하여 도시철도 수송 여객은 총 3억 3623만 3200여 명이며, 하루 평균 수송 인원은 92만 1210여 명이다. 경부선 등 철도 수송 여객은 승차 인원 2045만 6060여 명, 강차 인원은 2040만 9900여 명이며, 부산역 이용객이 약 37%로 가장 많다. 화물 수송량은 발송 톤수 약 318만t, 도착 톤수 약 495만t이며, 부산진역의 취급량이 가장 많다.

항공 교통

일제강점기에 지금의 해운대구에 군용 비행장이 건설되었고, 8·15광복 후 수영비행장으로 변경되었다. 수영비행장은 1958년 부산비행장으로 개칭된 뒤 1963년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으며, 1976년 김해군 대저읍(지금의 부산시 강서구 대저동)으로 이전하여 김해국제공항으로 개칭되었다. 김해국제공항은 2개의 활주로, 국내선·국제선 여객터미널과 화물터미널을 갖추고 있으며, 거점 항공사는 에어부산이다. 2018년을 기준하여 국내선은 제주·김포·청주·인천 노선을 운항하며, 국제선은 중국·일본·베트남·미국·러시아를 비롯한 16개국을 취항한다. 운항 편수는 국내선 4만 7440여 편, 국제선 6만 3480여 편이며, 여객 수송 인원은 국내선 719만 7730여 명, 국제선 986만 6870여 명이다. 화물 수송량은 국제선 12만 3910여t. 국내선 5만 9590여t이다.

해상 교통

1876년 부산항이 개항되어 근대화의 관문이 되었으며, 이후 오랜 시간에 걸친 증축과 정비를 통하여 국내 최대의 항만 시설을 갖춘 무역항이 되었다. 부산항은 보통 영도구·중구·동구·남구에 걸쳐 있는 북항과 남항, 사하구의 감천항, 강서구와 경남 창원시 진해구에 걸쳐 건설되고 있는 부산항 신항을 통칭하며, 북항에 연안여객선·국제선·크루즈 여객터미널이 있다. 연안여객선은 부산~제주 노선을 운행하며, 국제선은 일본의 후쿠오카·오사카·시모노세키·이즈하라 등지를 오가는 정기항로를 운행한다. 2018년 여객 수송 인원은 외항선 142만 6330여 명, 연안여객선 1만 8870여 명이며, 화물 수송량은 외항선 204만 5600여t, 연안여객선 8만 4730여t이다.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