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안심사 세존사리탑

청주 안심사 세존사리탑

[ 淸州 安心寺 世尊舍利塔 ]

요약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안심사에 있는 사리탑.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청주 안심사 세존사리탑

청주 안심사 세존사리탑

지정종목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76년 12월 21일
소장 안심사
관리단체 안심사
소재지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동길 169-28 (남이면, 안심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높이 1.5m

안심사는 신라 혜공왕(惠恭王) 11년(775)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창건하고 평안한 마음으로 제자를 양성하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전해진다.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 원명국사(元明國師)가 중건하고, 조선 인조(仁祖) 4년(1626) 송암대사(宋庵大師)가 다시 중수하였다 한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이 사리탑은 진표율사가 안심사를 창건할 때 조성하여 세존사리를 봉안하였다고 전해진다. 한편 탑 옆에 있는 부도 앞에 세워진 세존사리비(世尊舍利碑)에 의하면 사리탑의 행방을 오랫동안 모른 채 내려오던 중 뒷산에서 발견하여 조선 고종(高宗) 18년(1881) 구천동(九川洞)에 봉천(奉遷)하였다. 이것을 다시 광무(光武) 4년(1900)에 광우(廣祐)와 등원(等元) 두 스님이 안심사로 이안(移安)하였다고 한다.

사리탑은 석종형(石鐘形)으로 지대석 위에 8각형 대석을 놓고, 그 위에 타원형의 탑신을 안치한 형태이며, 상단부는 보주형(寶珠形)을 이루고 있다. 대석이나 탑신 표면에 아무런 장식이 없는 소박한 부도로 조선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크기는 높이 약 1.5m이다. 1976년 12월 2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청주 안심사 세존사리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7호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남이면 안심사에 있는 승탑.   사찰에서 전해지는 설에 의하면 신라 혜공왕 때인 775년 진표율사가 안심사를 창건하면서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한 사리탑이라고 한다.   하지만 부도탑의 조성연대를 살펴보면 장식이 절제되고 소박한 형태의 부도로 조선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사리탑은 팔각의 하대석에 높이 약 1.5m정도의 석종형이다. 앞에는 사리탑의 내력을 기록한 비석과 두부가 훼손된 불상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