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김새

시김새

요약 전통음악에서 선율을 이루는 골격음의 앞이나 뒤에서 그 음을 꾸며주는 장식음이나 음길이가 짧은 잔가락, 올라가는 음, 내려가는 음, 꺾어지는 음을 일컫는 용어.

화려함이나 멋을 더하기 위해 어느 음에 붙는 표현기능을 뜻하는 용어로서, 선율선(旋律線)이나 절주(節奏)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하여 쓰이기도 한다. 앞에서 꾸미거나 뒤넘기 전에 제음을 꾸며주는 장식적인 음들이라 하여 식음(飾音)새 또는 시금새라고도 한다.

시김새는 곡의 전체 분위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며 세련미, 화려함, 유연미를 부여한다. 그러나 시김새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 잘못 연주하거나 너무 많이 사용하면 곡이 자칫 조잡해질 수 있다. 전통음악 안에서도 정악(正樂)과 민속악(民俗樂)의 연주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민속악은 정악보다 훨씬 넓은 음폭으로 격렬하게 요(搖:흔들거나 떠는 표현)하므로 정악보다 더욱 다양한 시김새를 가지는 데 비해 정악에서는 음폭을 좁게 잡고 잔잔하게 표현한다.

시김새는 연주하는 악기의 독특한 주법에 따라, 연주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거문고가야금의 경우 줄을 흔드는 비브라토(vibrato) 같은 주법의 농현(弄絃)과 줄을 밀어올리는 추성, 밀었던 줄을 흘려내는 퇴성, 순간적으로 줄을 굴러 알찬 소리를 내는 전성(轉聲) 등의 시김새가 있다. 또다른 주법화된 시김새로는 슬기둥과 싸랭이 있다. 또 가야금만의 특수 주법으로는 연튀김, 뜰동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피리의 경우 고유의 시김새로 서침, 내리더름, 올리더름 등이 있다. 또 대금, 소금, 단소의 경우 떠이어 주법이 있다. 해금의 특수 주법으로는 잉어질 주법이 있다. 장식음은 대부분 장식부호로 기보하는데 5선 위에서는 작은 음표로 표시하기도 하고 기호로도 쓰고 있지만 율명을 정간 속에 적어 놓은 정간기보에서는 대부분이 부호로 처리되고 있다.

참조항목

꾸밈음, 농현

역참조항목

비브라토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