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공해

개발공해

[ 開發公害 ]

요약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으로 인해 생기는 피해.
개발공해

개발공해

인간의 편리함과 이익을 위하여 자원 및 환경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자연 생태계의 자정(自淨) 능력을 파괴, 자연뿐만 아니라 인간의 생존까지 위협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산업과 인구의 집중화, 도시계획의 무계획성, 공공투자의 결핍 등으로 발생한다.

대기오염, 수질오염, 토양오염 등의 형태로 구분되며 인접한 공장지대의 확장으로 인한 소음, 진동, 악취, 지반침하 등을 내용으로 한다. 대표적인 예를 들어 살펴보면 핵폐기물을 비롯한 산업폐기물생활폐기물의 배출, 댐이나 도로 건설에 따른 수몰 및 연도(沿道) 지역의 생활터전 상실과 생태계의 변화 등이라 할 수 있다. 그 밖에 공업단지 조성에 따른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으로 인한 생활환경의 오염과 농경지, 어장 등 생산기반의 파괴 등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개발도상국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77년 ‘환경보전법’을 제정하여 공해를 규제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