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1993)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1993)

[ Celadon Prunus Vase with Inlaid Plum, Bamboo, and Crane Design , 靑磁 象嵌梅竹鶴文 梅甁(1993) ]

요약 12세기의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청자 매병. 1993년 9월 10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1993)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1993)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93년 9월 10일
소장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시대 고려 12세기 후반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크기 높이 33cm, 입지름 5.2cm, 밑지름 11cm

1993년 9월 10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3cm, 입지름 5.2cm, 밑지름 11cm이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입은 각이 져 세워지고, 짧은 목에 어깨에서부터 풍만히 벌어져 몸통의 상부를 이루었다가 서서히 좁아져 내려가 밑부위에서 다시 벌어져 세워진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매병이다. 문양은 몸통의 좌우에 바람에 흔들리는 가늘고 길게 세워진 매죽무늬를, 그 사이에는 율동감 있는 3마리의 학들을 섬세하고 회화적인 흑백상감으로 나타냈다. 유색(釉色)은 담청록색으로 전면에 고르게 시유되었으며 기면(器面) 일부에 흙물이 스며 있다.

형태와 문양으로 보아 12세기 후반 전북 부안군 유천리요(柳川里窯)에서 만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비슷한 청자상감매죽학문매병이 미국 보스턴미술관에도 소장되어 있으나 입부위가 훼손, 수리되어 있어, 이 매병이 완전하고 문양도 회화적으로 잘 나타나 있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청자상감매병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