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미황사 응진당

해남 미황사 응진당

[ Eungjindang Hall of Mihwangsa Temple, Haenam , 海南 美黃寺 應眞堂 ]

요약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서정리 미황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목조건물. 1993년 11월 19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해남 미황사 응진당

해남 미황사 응진당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93년 11월 19일
소재지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미황사길 164, 미황사 (서정리)
시대 통일신라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크기 정면 3칸, 측면 2칸, 건평 20평

1993년 11월 19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 건평 20평, 다포계 겹처마 팔작지붕이다.

미황사는 749년(경덕왕 8)에 의조(義照)가 창건하고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소실되어 1659년(효종 10)에 중창하였는데, 응진당은 1751~1754년 사이 대웅전과 함께 복원된 것으로 보인다. 기단은 자연석 허튼층쌓기, 초석은 자연석 덤벙주초로 하였다. 평주(平柱) 위에 내4출목(內四出目), 외3출목의 포작(包作)을 형성하고 그 위에 대들보를 얹었다. 공포(栱包)는 외삼출목에 7포작이며 첨차(檐遮)는 교두형인데, 첨차마구리가 거의 정사각형으로 되어 고풍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천장은 모두 우물반자로 하고 칸마다 운각을 주변에 붙여 원형의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단청은 이 지방 특유의 문양과 색상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특히 포벽과 벽체에 그려진 탱화들은 매우 격조 높은 것이어서 앞으로 문양모사를 하여 두면 이후 연구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황사에서 소유 관리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 > > >